유니콘 강국 비결..."풀고 늘렸다" [한국형 유니콘이 간다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한국은 이처럼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후하다는 평가를 받는 국가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그러나 수많은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유니콘을 키우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규제를 줄이고, 대기업의 스타트업 투자를 늘려 스타트업 생태계의 선순환이 돼야 비로소 한국도 진정한 유니콘 강국의 반열에 오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습니다.
김선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12월 바이오시밀러 제조기업 `에이프로젠`이 유니콘 기업에 등극하면서 한국은 유니콘 기업 11개를 보유한 국가가 됐습니다.
전세계 순위를 놓고 보면 올해 초 기준 미국, 중국, 영국, 인도, 독일에 이어 6번째입니다.
정부의 고강도 스타트업 육성책이 `유니콘 기업 다수 배출`이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진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아 있다는 게 스타트업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우선 스타트업 관련 규제가 여전히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업계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중국의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의 경우 초반 택시업계의 반발이 높았지만, 중국 정부는 `선 허용, 후 보완` 정책을 택했습니다.
사업을 일단 허용한 뒤 추후 문제가 생기면 제한을 두고 보완 장치를 요구하는 이른바 네거티브 규제를 적용한 겁니다.
그 사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한 디디추싱의 기업가치는 현재 560억달러(6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내에선 반대로 `풀러스` 등과 같은 승차공유 기업들이 규제에 막혀 하나 둘씩 사라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터뷰> 최성진 /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정부가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을 천명했지만, 여전히 부족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작년에 세계 100대 스타트업을 국내 규제로 분석해보니 50~60%만 자유롭게 사업을 할 수 있고, 나머지 절반은 아예 규제 때문에 사업을 못하든지,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분석돼 있습니다."
규제완화 필요성뿐 아니라, 유니콘이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를 통한 회수, 이른바 `엑시트`로 이어지는 스타트업 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기대 /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사
"(우리나라는) 국가가 지원책을 써서 스타트업 수도 많이 키워놓고 젊은 사람들도 많이 들어오고 했는데, 이게 잘 된 케이스가 많아야 돼요. `엑시트 해서 돈을 많이 벌었다`라는 얘기가 많이 들려야 하는데, 우리는 지금 어마어마한 스타트업 숫자에 비해 엑시트가 많지 않아요."
업계 관계자들은 원활한 엑시트를 위해 대기업이 주도하는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의 확대가 필수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대기업 주도 CVC는 재무적인 성과보다는 자신들의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전략적인 관점에서 따지기 때문에, 투자 대상 벤처기업을 장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이나 중국 스타트업의 투자자 중 CVC의 비중은 각각 40%, 35%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17%로 비중이 적습니다.
금산분리법 규제로 대기업이 CVC 법인을 만들어 투자하는 것은 불가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와 비슷한 선에 서 있는 프랑스는 최근 `유럽의 병자`에서 라프렌치테크로 대표되는 스타트업 강국으로 발돋움 했습니다. 정부가 앞장서 이 같은 걸림돌들을 적극 제거한 덕입니다.
<인터뷰> 김보선 / 라프렌치테크 커뮤니티 서울 겸 아지앙스 대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이 스타트업을 위한) 공격적인 정책을 많이 펴고 있고요. (파리에) `스테이션 F`라는 스타트업 캠퍼스가 있는데, 프랑스를 대표하는 기업들, 전세계 대기업들 구글, 페이스북, LVMH 등이 인큐베이팅 액셀러레이터 또는 투자 기관으로 들어와있고, 스타트업과 활발하게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스타트업 업계는 최근 경기 부양 카드로 정부가 꺼낸 CVC 제도 완화 정책을 환영하고 있는 상황.
스타트업 생태계 선순환 구조가 제대로 구축돼 한국이 유니콘 선진국으로 거듭날 지, 이번 정부와 국회의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선엽입니다.
김선엽기자 sy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