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여성정책연구원, 내일 코로나19 여성·가족분야 토론회
코로나19 감염 불안에 긴급돌봄서비스 이용률 저조…"대책 시급"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안전한 돌봄체계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정작 가정에서는 돌봄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9일 여성가족부가 공개한 김영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의 '코로나19 시기 가족생활과 가족정책 의제' 보고서에 따르면 초등학생 이하 아동이 있는 가정의 돌봄서비스 이용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달 고등학생 이하 자녀가 있는 국민 1천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넷 웹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 먼저 미취학 자녀가 있는 가정(633개)의 경우 긴급돌봄을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53.1%로 절반을 넘었다.

긴급돌봄을 '처음부터 계속 이용했다'(14.7%), '시간이 조금 지나서부터 이용했다'(32.2%)는 답변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긴급돌봄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녀가 감염될까 봐 불안해서'(69.1%)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신청하는 아동수가 적어 눈치가 보여서'(23.5%), '긴급돌봄 운영 방식이 불안해서'(16.2%) 등의 순이었다.

앞으로 코로나19와 유사한 상황 발생 시 자녀를 돌볼 방법에 대해서는 본인 또는 가족이 직접 돌보겠다는 응답이 81.8%에 달했다.

특히 외벌이(91.7%)뿐 아니라 맞벌이(71.0%) 가정에서도 직접 돌보겠다는 응답이 높았다.

또 초등학생 가정에서는 긴급돌봄을 이용하지 않았다는 비율이 85.0%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는 '감염 우려'가 52.9%로 가장 많았고, '긴급돌봄 운영방식이 불안해서'(27.5%)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여성의 돌봄 노동 비율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녀 돌봄 분담 정도에 대해 맞벌이 여성의 40.7%, 외벌이 여성의 38.7%가 "이전보다 본인이 더 많이 하게 됐다"고 응답했다.

같은 질문에 맞벌이 남성은 22.7%, 외벌이 남성은 18.8% 응답률을 보였다.

또 경제활동을 하는 남성과 여성 모두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했다는 응답이 12.9%에 그쳤는데 그 이유로는 가장 많은 34.5%가 "회사 눈치가 보여서"라고 답했다.

김 연구위원은 "감염병 확산에 따라 집단 돌봄이나 외부인의 방문을 꺼리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앞으로 비슷한 상황에서도 가족이 직접 돌보겠다는 응답 비율이 높은데 이는 사회화된 돌봄 서비스에 대한 불신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돌봄 기관과 인력에 대한 위생 안전을 현재보다 높은 수준으로 엄격하게 관리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하고, 또 위생관리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는 등 (돌봄서 비스를) 신뢰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아이돌보미 등에 대한 '감염병 안심 보증제' 방안 도입, 남성의 돌봄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적·문화적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여가부는 10일 오후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서울 은평구 여성정책연구원에서 개최하는 '제3차 코로나19 관련 여성·가족 분야별 릴레이 토론회'에서 이번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관련 대책을 논의한다.

코로나19 감염 불안에 긴급돌봄서비스 이용률 저조…"대책 시급"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