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이 전기차 광폭 행보에 나서면서 주춤하던 현대모비스 주가가 모처럼 급등했다.

정의선 '전기차 광폭행보'에…현대모비스 '꿈틀'
23일 현대모비스는 4.89%(9000원) 오른 19만3000원에 장을 마쳤다. 정 부회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배터리 연쇄 회동’에 나서면서 현대모비스도 전기차 생산 확대의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가 높아진 덕분이다. 정 부회장이 연이어 방문한 삼성SDILG화학현대차그룹 내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배터리 업체란 공통점이 있다. 국내 기업 간 협업이 필요한 이유다.

배터리 외 대부분의 부품은 현대모비스 등 그룹 내 부품회사가 공급하고 있다. 쇳물부터 완성차까지 오랜 기간 수직계열화를 통해 생산해왔기 때문이다. 현대모비스는 구동모터, 배터리관리시스템 등 배터리를 제외한 대부분 제품을 현대·기아차에 공급하고 있다.

최근 들어 현대·기아차의 전기차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현대모비스 전동화부품 사업부문도 실적이 좋아지고 있다. 2017년 1조원 수준이던 관련 매출은 지난해 2조8000억원까지 늘었다.

향후 전망도 낙관적이다. 현대·기아차의 전기차 판매량 증가세가 가파르기 때문이다. 올 1분기에만 3만8000대가량의 전기차가 팔렸다. 전년 대비 33% 늘어난 수치다. 유럽시장에서 전기차 보조금이 확대되면서 현대차의 코나EV, 기아차의 니로EV 등의 판매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5% 수준이던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유럽시장 판매량 증가로 8%대로 높아졌다. 테슬라, 폭스바겐, 르노닛산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대·기아차의 전기차 판매량이 늘면서 현대모비스의 밸류에이션도 높아지고 있다”며 “현대·기아차 전기차의 흑자폭이 확대되면서 현대모비스 전동부품 사업부도 내년에 조기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