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특보 없애고 노동협력관 교체 계획…상생 일자리 재단이 총괄
광주시, '광주형 일자리' 노동계 소통 창구 전면 재조정
광주시가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주축인 지역 노동계와의 소통 창구를 전면 재조정한다.

21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올해 2월 박병규 광주글로벌모터스 상생위원회 위원장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2급 상당(전문 임기제) 사회연대일자리특별보좌관(일자리 특보)의 후임자를 찾지 않기로 했다.

시는 노동계와의 창구 역할을 하는 일자리 특보 찾기에 노력했지만,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불참까지 선언한 노동계와의 갈등으로 후임자를 찾지 못했다.

올해 4월 노동계가 사업에 복귀, 시 산하에 노동계와의 소통 기구인 상생 일자리 재단을 두기로 합의하면서 일자리 특보의 업무를 재단에서 담당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최근 재단 설립 추진단을 출범시켰으며, 추진단장이 일자리 특보의 업무를 대신하게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추진단은 무보수 명예직인 단장·4급 상당 전문 임기제 보좌관·일반직 직원 4명·일반 임기제 2명으로 구성된다.

노동계 추천과 공모로 단장과 임기제 직원을 선발하고 이달 내로 추진단 구성을 마칠 예정이다.

추진단 구성을 완료하고 다음 달 정기 인사에서 일자리 특보직은 더는 유지하지 않기로 했다.

또 다른 노동계와의 소통 창구인 노동협력관(4급)도 교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지난해 6월 개방형 공모직으로 뽑은 하희섭 전 노동협력관의 사임 이후 공모에 나섰지만, 지원자가 없어 내부 공무원에게 자리를 맡기고 있다.

시는 개방형 직이 아닌 노동 문제에 전문성이 있는 내부 공무원으로 노동협력관을 교체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 관계자는 "상생 일자리 재단이 노동계와의 소통 창구이기 때문에 일자리 특보직은 더는 의미가 없게 됐다"며 "정원 외의 자리이기 때문에 7월 정기 인사에서 직제에서 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