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 시대에 만든 소형 동종, 전북 장수에서 출토
전북 장수 대적골 유적에서 후백제 시대 청동제 소형 동종(銅鐘)이 온전한 형태로 출토됐다.

전북 장수 대적골 유적을 조사 중인 전주문화유산연구원은 후백제에서 조선 시대 사이 것으로 보이는 종합 제철 유적이 다수 확인됐고, 특히 후백제 문화층에서는 온전한 형태의 청동제 소형 동종이 출토됐다고 26일 밝혔다.

동종은 높이 26.5㎝, 지름 10∼15.6㎝로, 크기는 작지만, 일반적인 범종(梵鐘) 형태를 온전히 갖췄다.

매달 수 있는 용뉴(용의 모습을 한 고리) 부분에는 용 한 마리와 음통(音筒·소리대롱)이 조각돼 있으며, 용뉴 바닥이자 종의 천정 부분인 천판 가장자리에는 입상화문(立狀花文, 서 있는 형태의 꽃무늬)이 둘려 있다.

종의 가장 상부와 하부에는 꽃가지 무늬가 있고, 상부 아래에는 4개의 연곽(상대 밑에 붙은 네모난 테)이 있는데 각각의 연곽 안에는 9개의 연뢰(연꽃봉오리 형태로 돌출된 장식)가 볼록하게 돌출돼 있다.

또 몸체에는 돋을새김한 2개의 연꽃무늬 당좌(종을 칠 때 망치가 닿는 자리)가 있고 당좌 사이에는 연꽃 자리에 앉아 합장하고 있는 2구의 불보살(佛菩薩)상이 장식돼 있다.

전상학 전주문화유산연구원 조사1부장은 2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종의 문양과 기법을 검토해봐야 하겠지만 함께 출토된 기와, 토기를 볼 때 후백제 시기의 것으로 보인다"며 "종이 출토된 곳은 사찰이 많은데 이번 동종이 발견된 곳에서는 사찰과 관련한 흔적이 없어 특이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위적으로 훼손한 흔적이 보이는데 후백제 멸망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정해본다"고 했다.

후백제 시대에 만든 소형 동종, 전북 장수에서 출토
인근에서는 호남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거푸집 생산 가마와 퇴적구, 제련로 4기, 단야로(철 소재를 가열하는 가마) 2기, 추정 용해로 1기, 석축 시설 1기, 퇴적구(폐기장) 등도 발견됐다.

전상학 부장은 "그간 조사를 통해 대적골 유적은 철광석 채석부터 주조(鑄造) 또는 단조(鍛造)에 이르는 일체의 제철 과정을 볼 수 있는 종합 제철 유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