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린 제4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린 제4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 참석을 위해 광주를 방문한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힘차게 제창했다. 아울러 유가족에게도 사과의 말을 전했다.

주 원내대표는 18일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와 나란히 서 주먹을 쥐고 위아래로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 불렀다.

주 원내대표는 이어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 배현진 원내대변인 등과 함께 국립 5·18 민주묘지로 이동해 참배했다.

지난해 황교안 전 대표는 광주 시민들의 거센 항의로 인해 버스에서 내려 추모탑까지 가는 데 15분이 걸렸지만 이날 주 원내대표를 규탄하는 시위대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광주 방문에 앞서 주 원내대표가 당내에 있었던 '5·18 망언'을 사과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 원내대표는 방명록에 '5월 정신으로, 자유와 정의가 역동하는 하나 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겠습니다'라고 썼다.

참배를 마친 그는 "5·18 민주화운동을 둘러싼 갈등과 상처를 모두 치유하고 5·18 정신으로 하나 된 대한민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어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민주화 운동의 성격이나 권위에 대한 평가는 이미 법적으로 정리됐다"라며 "간혹 딴소리해서 마음에 상처를 드린 분들이 있는데 그분들이 잘못된 것"이라며 재차 사과의 뜻을 전했다.

이날 자리에서 지난해 5·18 망언의 당사자인 이종명 의원에 대한 징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당 윤리위원회는 이 의원의 5·18은 폭동 발언과 관련해 제명을 결정했으나 최종 의결은 1년가량 미뤄졌다. 이후 이 의원은 지난 총선을 앞두고 제명 절차를 밟아 통합당의 비례정당인 미래한국당으로 이적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해 "당이 다르기 때문에 더는 어떻게 할 방법이 없고, 징계도 한 번 하고 나면 두 번, 세 번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라고 답해 추가 징계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설명했다.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민주의문 앞에서 언론 인터뷰를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민주의문 앞에서 언론 인터뷰를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