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도 너무 비싸' 코로나19 치료 후보 한알에 수십만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 후보 약물이 한알에 수십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런던 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학술지 '바이러스 퇴치 저널'에 실린 연구논문을 인용해 "코로나19 치료 후보 약물이 치료제로 '재창출'되더라도 비싼 약값 탓에 환자가 제대로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코로나19 효과가 기대돼 임상시험에 진입한 항(抗)바이러스제 소포스부비르(상품명 소발디)는 이미 만성 C형간염 치료제로 개발돼 쓰이는 약물이다.
이 약을 C형간염 환자에게 1주기(12주)간 투여하는 데에는 미국의 기준약가를 적용할 때 1만8610달러(약 2300만원)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알에 약 42만원 수준이다. 한국에서도 소포스부비르의 건강보험 약값은 한 알에 거의 13만원이나 된다.
코로나19의 폐 손상을 억제해 줄 가능성으로 주목받는 폐섬유증 치료제 피르페니돈도 1주기(4주) 치료에 드는 약값이 미국 기준 약가로 9606달러(약 1200만원)나 된다. 미국 보훈병원 할인을 적용해도 6513달러(약 800만원)에 이른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진들은 코로나19 치료제로 거론되는 기존 약물의 각국 가격과 이들의 복제약 예상 가격을 비교해 제약사들이 고가 정책으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약물의 생산 원가, 세금, 10% 마진을 붙여 예상 복제약 가격을 산출했다. 그 결과 소포스부비르의 예상 복제약 가격은 5달러 수준으로, 미국 기준약가의 1.5%에 불과했다.
제약사들은 신약의 가격이 실패한 프로젝트를 포함한 막대한 개발비용이 반영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가디언 측은 "개발비용의 상당 부분이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 즉 납세자가 부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소포스부비르를 C형간염 치료제로 내놓은 길리어드는 코로나19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렘데시비르도 개발 중이다. 렘데시비르 개발에 투입된 미국 정부 자금은 7900만달러(약 1000억원) 이상이다.
그러나 길리어드는 이 약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추진해 장기 마케팅 독점권을 노렸다가, 비판 여론이 고조하자 지정 취소를 신청한 바 있다. 또 평가가 엇갈리는 임상시험 초기결과가 나온 최근에야 비축 물량을 정부에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가디언은 정부와 제약업계의 밀착 관계에도 주목했다.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에 배치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조 그로건 국내정책위원회 위원장은 2011∼2017년에 길리어드의 로비스트로 활동한 바 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11일(런던 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학술지 '바이러스 퇴치 저널'에 실린 연구논문을 인용해 "코로나19 치료 후보 약물이 치료제로 '재창출'되더라도 비싼 약값 탓에 환자가 제대로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코로나19 효과가 기대돼 임상시험에 진입한 항(抗)바이러스제 소포스부비르(상품명 소발디)는 이미 만성 C형간염 치료제로 개발돼 쓰이는 약물이다.
이 약을 C형간염 환자에게 1주기(12주)간 투여하는 데에는 미국의 기준약가를 적용할 때 1만8610달러(약 2300만원)가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알에 약 42만원 수준이다. 한국에서도 소포스부비르의 건강보험 약값은 한 알에 거의 13만원이나 된다.
코로나19의 폐 손상을 억제해 줄 가능성으로 주목받는 폐섬유증 치료제 피르페니돈도 1주기(4주) 치료에 드는 약값이 미국 기준 약가로 9606달러(약 1200만원)나 된다. 미국 보훈병원 할인을 적용해도 6513달러(약 800만원)에 이른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진들은 코로나19 치료제로 거론되는 기존 약물의 각국 가격과 이들의 복제약 예상 가격을 비교해 제약사들이 고가 정책으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약물의 생산 원가, 세금, 10% 마진을 붙여 예상 복제약 가격을 산출했다. 그 결과 소포스부비르의 예상 복제약 가격은 5달러 수준으로, 미국 기준약가의 1.5%에 불과했다.
제약사들은 신약의 가격이 실패한 프로젝트를 포함한 막대한 개발비용이 반영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가디언 측은 "개발비용의 상당 부분이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 즉 납세자가 부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소포스부비르를 C형간염 치료제로 내놓은 길리어드는 코로나19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렘데시비르도 개발 중이다. 렘데시비르 개발에 투입된 미국 정부 자금은 7900만달러(약 1000억원) 이상이다.
그러나 길리어드는 이 약의 '희귀의약품' 지정을 추진해 장기 마케팅 독점권을 노렸다가, 비판 여론이 고조하자 지정 취소를 신청한 바 있다. 또 평가가 엇갈리는 임상시험 초기결과가 나온 최근에야 비축 물량을 정부에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가디언은 정부와 제약업계의 밀착 관계에도 주목했다.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에 배치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조 그로건 국내정책위원회 위원장은 2011∼2017년에 길리어드의 로비스트로 활동한 바 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