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이 공식 석상에서 자취를 감춘 것은 지난달 11일 평양에서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이후다. 다음 날 최고인민회의에 불참한 데 이어 15일에는 집권 이후 처음으로 김일성 생일에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지 않았다. 미국 CNN이 21일 건강 이상설을 제기한 배경이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뚜렷한 증거 제시 없이 “특이 동향이 없다”고 되풀이했고, 확인되지 않은 소문과 억측이 사망설로까지 번졌던 것이다.
이런 일련의 소동은 북한 정권의 급변사태가 한반도 안보는 물론 국민 일상과 경제활동까지 불안하게 한다는 점을 새삼 일깨워줬다. 북한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김정은의 유고(有故)가 현실화할 경우 그 혼란상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도 북한 내 권력 공백에 대한 인식 자체만으로도 위험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그런 점에서 북한의 정확한 내부정보를 확보할 통로와 능력을 갖춰야 할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한·미동맹의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미비한 점은 없는지도 짚어봐야 한다. 한미연합사는 북한 내 쿠데타, 핵무기 해외 유출 등 비상상황별 대응을 담은 ‘작전계획 5029’, 전면전이 벌어질 경우를 가상한 ‘작전계획 5027’ 등을 마련해 놓고 있다. 그러나 작전계획이 대강의 줄기를 잡은 것이어서, 급박한 정세변동에 적절히 대처하려면 철저한 검증과 수정·보완작업이 필수다. 언제 어떤 형태로 불거질지 모를 북한 급변사태에 대비하는 계획을 짜고 역량을 키우는 데 힘을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