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감 확인한 '백두혈통' 김여정…김정은 옆자리서 위상 과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사진)이 존재감을 다시 드러냈다. 사망설을 불식시키는 자리에 김 위원장 옆에 나란히 앉으며 '백두혈통'의 위상을 과시했다는 분석이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2일 공개한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행사 사진에서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 위원장의 바로 오른편에 앉았다. 앞머리를 내리고 검정 치마정장 복장을 한 모습을 보였다.
통상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북한의 주요 행사 자리에서는 당 간부들이 비슷한 서열순으로 주석단에 앉는 것이 일반적이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이날 자신보다 당내 공식 서열이 높은 김덕훈 당 부위원장보다 상석에 앉았다.
김 제 1부부장이 앉은 자리는 행사에 불참한 '2인자'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통상 앉던 자리였다.
그는 준공식에서 김 위원장 뒤에 서서 준공테이프 절단용 가위 받침대를 들고 서 있는 등 주된 역할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이런 정황은 김 제1부부장의 당내 공식 직함이나 서열 변화라기 보다는 '백두혈통'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한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김 위원장이 공장을 둘러보는 사진에선 김 제1부부장이 포착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러한 분석에 무게를 싣는다. 공장 시찰 때는 대부분 당 부위원장급들만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삼지연극장에서 설 기념공연을 관람할 때도 고모인 김경희 전 노동당 비서와 김 제1부부장을 나란히 대동해 '백두혈통'의 위상을 드러낸 바 있다.
김 제1부부장은 올해 들어 북한 권력 구도에서의 정치적 위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는 올해 차관급(제1부부장)으론 이례적으로 본인 명의로 청와대를 향해 대남 비난 담화와 대미 담화를 잇따라 냈다. 이어 김 위원장의 군부대 시찰 활동에도 거의 매번 동행하며 실질적 권력 2인자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모습이다.
지난달 11일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해임된 것으로 추정됐던 정치국 후보위원 지위도 되찾았다.
한편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사망설이 잇따라 나오자 일각에선 김 제1부부장의 공식 후계자 가능성까지 제기되기도 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이 2일 공개한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 행사 사진에서 김여정 제1부부장은 김 위원장의 바로 오른편에 앉았다. 앞머리를 내리고 검정 치마정장 복장을 한 모습을 보였다.
통상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북한의 주요 행사 자리에서는 당 간부들이 비슷한 서열순으로 주석단에 앉는 것이 일반적이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이날 자신보다 당내 공식 서열이 높은 김덕훈 당 부위원장보다 상석에 앉았다.
김 제 1부부장이 앉은 자리는 행사에 불참한 '2인자'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통상 앉던 자리였다.
그는 준공식에서 김 위원장 뒤에 서서 준공테이프 절단용 가위 받침대를 들고 서 있는 등 주된 역할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이런 정황은 김 제1부부장의 당내 공식 직함이나 서열 변화라기 보다는 '백두혈통'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한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김 위원장이 공장을 둘러보는 사진에선 김 제1부부장이 포착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러한 분석에 무게를 싣는다. 공장 시찰 때는 대부분 당 부위원장급들만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삼지연극장에서 설 기념공연을 관람할 때도 고모인 김경희 전 노동당 비서와 김 제1부부장을 나란히 대동해 '백두혈통'의 위상을 드러낸 바 있다.
김 제1부부장은 올해 들어 북한 권력 구도에서의 정치적 위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는 올해 차관급(제1부부장)으론 이례적으로 본인 명의로 청와대를 향해 대남 비난 담화와 대미 담화를 잇따라 냈다. 이어 김 위원장의 군부대 시찰 활동에도 거의 매번 동행하며 실질적 권력 2인자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모습이다.
지난달 11일 열린 노동당 정치국 회의에서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해임된 것으로 추정됐던 정치국 후보위원 지위도 되찾았다.
한편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사망설이 잇따라 나오자 일각에선 김 제1부부장의 공식 후계자 가능성까지 제기되기도 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