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멧돼지 ASF 감염 대응 방안 전문가 토론회 개최
"멧돼지 ASF 확산 가능성…장기 대응방안 마련해야"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이 더 확산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조급함을 버리고 장기적인 ASF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도 잇따라 제기됐다.

김영준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은 27일 서울 용산구 KDB생명타워에서 환경부 주최로 열린 '야생멧돼지 ASF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야생멧돼지 ASF 지역별 대응방향'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지뢰 지대이거나 면적이 넓고 산악 지형이 험준한 강원 화천 해산, 강원 양구 사명산, 강원 철원 고대산 일원은 ASF 근절이 불가능할 것"이라며 "북한, 비무장지대(DMZ)에서 바이러스 통제가 되지 않을 경우 접경지역에서도 야생멧돼지 ASF가 새롭게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실장은 "조급함을 버리고 (야생멧돼지 이동을 막기 위해 설치한) 광역 울타리를 보완해야 한다"며 "장기적인 대응을 위해 멧돼지 사체·포획·매몰지 정보, 수렵인 명부 관리와 활동 기록 등 정보 수집 체계를 마련하고 '야생동물 질병관리원'도 조기에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 대부분 ASF가 쉽게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며 장기적·계절별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정현규 도드람양돈연구소 박사는 "지형이 다양하고, ASF가 멧돼지 이외의 야생동물, 사람, 차량 등에 접촉해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광역 울타리를 벗어난 ASF 양성 개체가 발견되는 상황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며 "최소 3년을 보고 대응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포천 국립수목원(광릉수목원), 서울 주변의 도봉산, 북한산, 설악산 주변의 예방적 울타리 설치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후승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는 "유럽 사례를 통해 보면 여름철의 멧돼지 ASF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며 "국내에서도 3월부터 9월에 ASF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므로 계절별 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황주선 서울대 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박사는 "국내 야생멧돼지에서 ASF 발생 양상은 양성 건수나 지역적인 확산 경향을 봤을 때 유행기를 향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발생 지역 면적이 넓어 단기 근절은 어렵고, 오히려 경기 강원 북부 지역의 경우 ASF가 토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환경부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검토해 다음 달 중순 발표할 야생멧돼지 ASF 종합대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