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최대 제면기업체 CEO "日 우동 원조는 한국 칼국수"
일본 우동의 산증인이자 1위 제면기 업체의 최고경영자(CEO)가 ‘우동의 원류는 중국이 아니라 한국 칼국수’라는 주장을 펼쳐 화제다.

올해 창업 110주년을 맞은 사누키면기의 오카하라 유지 회장(사진)은 지난 1월 사비로 낸 저서 《불역유행(不易流行·본질은 변하지 않는다)》을 통해 “무로마치시대(1336~1573년)에서 에도시대(1603~1867년)에 걸쳐 한반도에서 건너온 면요리가 우동의 원형”이라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일본에서 우동은 구카이(空海·774~835년)라는 승려가 1200년 전 중국에서 제조법을 배워왔다는 중국전래설이 주류였다. 사누키우동이 일본 우동의 원조로 인정받는 이유도 홍법대사라는 법명으로 진언종을 창시한 구카이의 고향이 사누키(현 가가와현)이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이에 대해 오카하라 회장은 “구카이가 활약했던 헤이안시대(794~1185년) 초기 일본에는 우동을 만드는 데 필요한 소금과 밀가루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며 “소금을 양산한 건 에도시대부터”라고 반박했다. 일본의 면요리는 그로부터 400~500년 뒤인 무로마치시대 조선의 외교사절단이 한반도의 면요리인 칼국수를 소개하면서 처음 전해졌다. 그는 “무로마치시대에는 일본에도 밀가루를 빻을 수 있는 맷돌이 보급됐기 때문에 칼국수가 우동의 원형이라는 설이 가장 설득력 있다”고 분석했다.

오카하라 회장은 1964년부터 56년째 일본 최대 제면기 업체인 사누키면기를 이끌고 있는 일본 우동계의 원로다. 그가 일본 우동의 산증인으로 존경받는 건 제면기만 만드는 게 아니라 우동 기술을 전파하는 데도 열심이기 때문이다. 한국에도 2019년 사누키우동학교와 라면학교를 세워 일본 우동을 알리고 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