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저작권으로 재테크 어때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IP금융' 세상에 첫 선 보인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
저작권 지분 쪼개 경매... 창작자와 팬 모두 '윈윈'
저작권 지분 쪼개 경매... 창작자와 팬 모두 '윈윈'
"지적재산(IP)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음악 생태계를 혁신시킨다는 심리적 만족감까지 준다면 그 어떤 것보다 뛰어난 금융상품 아닐까요?"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사진)는 ‘IP금융’을 세상에 처음으로 선보인 창업자다. 음악 저작권을 투자상품으로 개발해 개인도 저작권을 소유하고 수익을 얻는 상품을 내놨다. 창업 3년차에 매출 50억원, 회원 6만5000명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안정적 수익 내는 저작권료를 금융상품으로
정 대표는 2000년대 초반 닷컴 붐을 이끈 창업자 중 하나다. 1999년 온라인 교육 업체 '중앙ICS'를 만들어 정부, 공공기관의 원격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했다. 인기 역사강사 설민석씨, 트렌드 전문가 김난도 서울대 교수 등을 대중에 알린 주역이다. 2000년대 초 여성전용 포털사이트로 인기를 끌었던 '젝시인러브'도 정 대표의 작품이다.
그가 음악 저작권을 주목하게 된 것은 직접 작사에 나서면서다. "우연한 기회에 울랄라세션 ‘너와 함께’, 바비킴 ‘가슴앓이’ 등 총 7곡을 작사했어요. 매달 저작권 수익이 들어오는데 뚜렷한 경향성이 보이더군요." 저작권 수익은 곡 등록 뒤 5달 뒤부터 들어온다. 처음에는 꽤 큰 금액이 입금되지만 6개월부터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에는 초기보다는 낮지만 일정한 수준의 수익을 냈다. 저작권이 안정자산이라는 확신을 가진 것은 2015년. 금융전문가 김지수 대표와 함께 상품을 개발해 2017년 7월 첫 선을 보였다.
뮤직카우의 투자상품은 개인도 저작권 일부를 사들이는데서 시작한다. 뮤직카우가 창작자와 협의해 특정 노래의 저작권 일부를 사들인다. 이를 주식처럼 잘게 쪼개 경매에 부친다. 참여자들은 낙찰 가격에 따라 저작권 지분을 소유하고 향후 발생하는 저작권료 수익을 지분만큼 나눠갖는다. 경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업체와 원저작권자에게 절반씩 돌아간다.
보유한 저작권은 회원간 재거래를 통해 현금화할 수도 있다. 가수 임창정의 '소주 한잔'은 최초 경매에서 2만9000원에 낙찰됐지만 지금은 5만원 안팎에서 재거래되고 있다. 뮤직카우 측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경매 참여자의 세전 수익은 평균 9.1%였다.
주요 고객은 K팝 팬과 새로운 금융상품을 찾는 투자자다. 팬들은 자신이 사랑하는 가수의 작품 가치를 높여주고 직접 소유한다는 즐거움을 얻는다. 때문에 경매에서는 예상치 못한 고가로 낙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그룹 워너원의 '뷰티풀'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이뤄진 경매에서 첫 시작가는 2만5000원, 최종 낙찰가는 3만원대였다. 여기에 일부 참가자는 60만원대로 지분을 사기도 했다. 정 대표는 "일부 팬들은 최고가 경쟁으로 '팬심'(팬으로서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기도 한다"며 "소중한 저작권을 공유해줘서 고맙다는 반응이 많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450여 곡이 경매를 통해 팬들과 저작권을 나눠가졌다. 최근 진행된 쿨의 '아로하'에 대한 저작권 경매 결과. 뮤직카우 화면 캡처
70억원 규모 시리즈B 유치
IP금융의 관건은 경쟁력있는 IP를 확보하는데 있다. 사업 초기에는 저작권 거래라는 낯선 개념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창작자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단옆차기, 박근태, 신사동호랑이 등 유명 작곡가 작품을 시작으로 경매가 입소문에 오르면서 저작권 확보도 한결 수월해졌다.
정 대표는 "한국의 척박한 저작권 생태계를 개선하는 역할도 한다"고 자부했다. 지금의 저작권 수익 창출 구조상 창작자들은 좋은 곡을 만들어도 한번에 목돈을 얻기 어렵다. 저작권은 대출 담보로도 인정해주지 않는다. "창작자들로서는 저희 플랫폼을 통해 저작권의 일부를 매각해 한번에 목돈을 얻을 수 있고 경매 수익도 추가로 거둘 수 있습니다. 팬들은 자신이 사랑하는 가수에게 투명하고 직접적으로 수익을 줄 수 있어요. 음악 저작권 생태계가 혁신적으로 활성화되는 셈이지요."
투자업계도 뮤직카우의 성장세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LB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 마이다스동아인베스트먼트, 아톤 등으로부터 70억원의 시리즈B를 유치했다. 이번에 확보한 자금은 저작권 확보에 활용할 계획이다. 창작자 후원 차원에서 언더 그라운드를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저작권을 매입키로 했다. 정 대표는 "일본, 중국을 시작으로 K팝 팬이 많은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사진)는 ‘IP금융’을 세상에 처음으로 선보인 창업자다. 음악 저작권을 투자상품으로 개발해 개인도 저작권을 소유하고 수익을 얻는 상품을 내놨다. 창업 3년차에 매출 50억원, 회원 6만5000명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안정적 수익 내는 저작권료를 금융상품으로
정 대표는 2000년대 초반 닷컴 붐을 이끈 창업자 중 하나다. 1999년 온라인 교육 업체 '중앙ICS'를 만들어 정부, 공공기관의 원격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했다. 인기 역사강사 설민석씨, 트렌드 전문가 김난도 서울대 교수 등을 대중에 알린 주역이다. 2000년대 초 여성전용 포털사이트로 인기를 끌었던 '젝시인러브'도 정 대표의 작품이다.
그가 음악 저작권을 주목하게 된 것은 직접 작사에 나서면서다. "우연한 기회에 울랄라세션 ‘너와 함께’, 바비킴 ‘가슴앓이’ 등 총 7곡을 작사했어요. 매달 저작권 수익이 들어오는데 뚜렷한 경향성이 보이더군요." 저작권 수익은 곡 등록 뒤 5달 뒤부터 들어온다. 처음에는 꽤 큰 금액이 입금되지만 6개월부터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에는 초기보다는 낮지만 일정한 수준의 수익을 냈다. 저작권이 안정자산이라는 확신을 가진 것은 2015년. 금융전문가 김지수 대표와 함께 상품을 개발해 2017년 7월 첫 선을 보였다.
뮤직카우의 투자상품은 개인도 저작권 일부를 사들이는데서 시작한다. 뮤직카우가 창작자와 협의해 특정 노래의 저작권 일부를 사들인다. 이를 주식처럼 잘게 쪼개 경매에 부친다. 참여자들은 낙찰 가격에 따라 저작권 지분을 소유하고 향후 발생하는 저작권료 수익을 지분만큼 나눠갖는다. 경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업체와 원저작권자에게 절반씩 돌아간다.
보유한 저작권은 회원간 재거래를 통해 현금화할 수도 있다. 가수 임창정의 '소주 한잔'은 최초 경매에서 2만9000원에 낙찰됐지만 지금은 5만원 안팎에서 재거래되고 있다. 뮤직카우 측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경매 참여자의 세전 수익은 평균 9.1%였다.
주요 고객은 K팝 팬과 새로운 금융상품을 찾는 투자자다. 팬들은 자신이 사랑하는 가수의 작품 가치를 높여주고 직접 소유한다는 즐거움을 얻는다. 때문에 경매에서는 예상치 못한 고가로 낙찰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그룹 워너원의 '뷰티풀'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이뤄진 경매에서 첫 시작가는 2만5000원, 최종 낙찰가는 3만원대였다. 여기에 일부 참가자는 60만원대로 지분을 사기도 했다. 정 대표는 "일부 팬들은 최고가 경쟁으로 '팬심'(팬으로서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기도 한다"며 "소중한 저작권을 공유해줘서 고맙다는 반응이 많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450여 곡이 경매를 통해 팬들과 저작권을 나눠가졌다. 최근 진행된 쿨의 '아로하'에 대한 저작권 경매 결과. 뮤직카우 화면 캡처
70억원 규모 시리즈B 유치
IP금융의 관건은 경쟁력있는 IP를 확보하는데 있다. 사업 초기에는 저작권 거래라는 낯선 개념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창작자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단옆차기, 박근태, 신사동호랑이 등 유명 작곡가 작품을 시작으로 경매가 입소문에 오르면서 저작권 확보도 한결 수월해졌다.
정 대표는 "한국의 척박한 저작권 생태계를 개선하는 역할도 한다"고 자부했다. 지금의 저작권 수익 창출 구조상 창작자들은 좋은 곡을 만들어도 한번에 목돈을 얻기 어렵다. 저작권은 대출 담보로도 인정해주지 않는다. "창작자들로서는 저희 플랫폼을 통해 저작권의 일부를 매각해 한번에 목돈을 얻을 수 있고 경매 수익도 추가로 거둘 수 있습니다. 팬들은 자신이 사랑하는 가수에게 투명하고 직접적으로 수익을 줄 수 있어요. 음악 저작권 생태계가 혁신적으로 활성화되는 셈이지요."
투자업계도 뮤직카우의 성장세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LB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 마이다스동아인베스트먼트, 아톤 등으로부터 70억원의 시리즈B를 유치했다. 이번에 확보한 자금은 저작권 확보에 활용할 계획이다. 창작자 후원 차원에서 언더 그라운드를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저작권을 매입키로 했다. 정 대표는 "일본, 중국을 시작으로 K팝 팬이 많은 해외 시장에도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