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지노믹스(084650)는 코로나19 진단키트 공급계약에 관한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을 16일에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은 지멘스 헬시니어스 인도법인이고, 계약금액은 91.5억원 규모로 최근 랩지노믹스 매출액 331.8억원 대비 약 27.59% 수준이다. 이번 계약의 기간은 2020년 04월 15일 부터 2020년 06월 30일까지로 약 2개월이다. 한편 이번 계약수주는 2020년 04월 15일에 체결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차트
한편, 오늘 분석한 랩지노믹스는 체외진단 및 유전자분석 서비스, 제품 생산업체로 알려져 있다.
ADVERTISEMENT
한경로보뉴스
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국내 증시에서 석유주(株)가 동반 강세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에 합의하지 않을 시 러시아산 석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영향으로 풀이된다.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45분 현재 흥구석유는 전날 대비 16.88% 상승한 1만309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각 중앙에너비스(7.21%), 극동유화(1.51%) 등도 강세다.트럼프가 러시아산 석유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단 소식이 전해지자 관련주에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현지시간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만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의 유혈 사태를 멈추는 데 합의하지 못하게 되고, 그 원인이 러시아라고 판단되면 러시아산 전체 석유에 대해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제작사인 팬엔터테인먼트가 폭락장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31일 오전 9시48분 현재 팬엔터테인먼트는 전 거래일 대비 205원(7.41%) 오른 2970원에 거래되고 있다. 2775원에 거래를 시작한 팬엔터테인먼트는 우상향하며 장중 3000원선을 돌파하기도 했다.폭싹 속았수다의 인기에 팬엔터테인먼트는 상승세를 타고 있다. 지난 17~23일 일주일간 폭삭 속았수다는 시청 수 550만(시청 시간을 상영 시간으로 나눈 값)을 기록해 비영어 TV쇼 1위에 올랐다. 지난 28일에 최종화를 포함한 4막이 공개되며 시장의 관심을 받았다.중국 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도 폭싹 속았수다를 호평했다. 이 때문에 한한령(한류 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지난 27일 환구시보는 오락·체육을 다룬 9면 톱기사로 폭싹 속았수다를 두고 '한국 시대극, 새로운 히트작 탄생'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환구시보는 "아이유, 박보검 등이 출연하는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지난 7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이후 국내와 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압박이 이어지면서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공매도가 재개된 31일 장 초반 국내 반도체주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31일 오전 9시15분 현재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1200원(1.99%) 내린 5만9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SK하이닉스도 5600원(2.81%) 하락한 19만3700원을 나타내고 있다.이밖에 한미반도체(-9.15%), 테크윙(-4.99%), 디아이(-3.74%), 미래반도체(-3.29%), 에스티아이(-3.03%), 피에스케이홀딩스(-2.91%),등이 일제히 약세다.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 상대국에 20% 보편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것이라고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앞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른바 '더티 15'로 명명하는 세계 최대 교역 상대국에 약 15%의 관세 부과를 고려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보다 더욱 광범위하고 세율도 높아진 것이다.또 이날 국내 증시에서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것도 변동성을 높인 요인으로 보인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빌려 판 뒤 실제 주가가 내려가면 이를 다시 사들여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내는 투자 방법이다. 공매도 재개는 2023년 11월5일 무차입 공매도 차단을 이유로 금지한 뒤 1년5개월 만이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모든 종목에 대해 공매도가 허용된 건 5년 만이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