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하는 美기업 피해 줄이려
중국산 제품은 포함 안해
코로나 사태 속 美·中 갈등 악화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의 수입 기업들이 코로나19에 따른 현금흐름 악화 등을 이유로 정부에 일시적 관세 납부 유예를 요청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여 관세유예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유예 대상은 최혜국대우를 받는 150여 개국의 의류, 신발, 소형 트럭 등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전쟁 기간에 국가안보 등의 이유로 36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상품에 매긴 관세는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무역법 301조와 무역확장법 232조를 동원해 관세를 부과한 중국산 철강 알루미늄 등은 대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브리핑에서 “중국은 우리에게 수십억달러의 관세를 지불하고 있으며 이를 없앨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1월 15일 1단계 무역합의 서명 이후 악화돼온 양국 갈등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폭스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측이 1월 23일 우한 봉쇄 조치를 취한 뒤 격노했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키지 못할 약속임을 알면서도 2년간 2000억달러 미국 제품 추가 구매 등에 서명했다는 것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은 아예 지난달 28일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류허 중국 부총리가 이끌었던 중국 협상단을 코로나19 전파자로 지목했다. 나바로 국장은 “그들은 우리와 악수하고 빵도 나눠 먹었다. 코로나19의 심각성을 경고하며 웃으면서 떠났다”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코로나19를 ‘차이나 바이러스’라고 지칭하자,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미군이 바이러스를 중국에 가져왔다’는 음모론을 제기해 양국 관계는 더 악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놓고 ‘차이나 바이러스’라고 불렀고, 이는 인종주의자 논란이 일던 지난달 말까지 계속됐다.
지난달 26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정상 화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서로를 거론하지 않으면서 냉랭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