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이번주 최대 27조원 규모의 금융시장 안정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금융권과 공동 출자를 통한 주식·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 기업 자금난 진화에 27兆 투입
2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번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제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27조원 안팎의 금융시장 안정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다. 분야별로는 채권시장안정펀드(최소 10조원) 및 증권시장안정펀드(최대 10조원) 조성,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6조7000억원) 등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20일 주요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1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조성한 수준(10조원)을 감안해 더 큰 규모로 마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금융위는 또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대한 P-CBO 프로그램도 6조7000억원 규모로 키우기로 했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힘든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 증권을 발행, 기업이 직접금융 시장에서 저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자동차와 조선 등의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운영하다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업종 제한을 없앴다. 피해가 더 커지면 대기업까지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후보 업종으로는 항공 및 여행, 관광, 내수 소비 업종 등이 거론된다.

금융위는 또 주식시장 충격을 줄이기 위한 증권시장안정펀드도 조성할 방침이다. 규모는 채권시장안정펀드와 비슷한 10조원 규모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관건은 금융권의 참여 수준이다. 채권 및 증권시장안정펀드는 금융권이 공동 출자하는 방식으로 조성된다. 은행권은 채권시장안정펀드에 대해서는 합의를 끝냈지만 증권시장안정펀드와 관련해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가 바닥을 모르는 상황에서 증권시장안정펀드에 참여했다가는 자칫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며 “시장 안정이 필요하지만 은행으로선 배임 이슈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