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증환자, 자가치료해야…의료자원 효율적 운용 필요"(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앙임상위 제언…오명돈 위원장 "당분간 환자 수 늘 것"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1천명을 넘어선 가운데, 증상이 미미한 환자는 집에서 경과를 지켜보는 '자가격리 치료'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료계 제언이 나왔다.
인력과 병상 등 의료자원의 한계가 있으니 환자가 더 늘어날 때를 대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증세가 가벼운 환자는 집에 있고 중증이면 2·3차 의료기관 찾고, 심각한 상태면 인공호흡기 등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배정해 사망률을 낮추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한 사례를 보면 (환자 발생) 두 달쯤 뒤에 정점에 갔다고 볼 수 있는데 국내에서도 앞으로 당분간 환자 수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국공립 의료기관에 5천개 병상이 준비돼 있는데, 증상이 가벼운 환자가 집에 있다면 확진자 수가 2만 명 정도가 될 때까지 감당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중국 보건당국 자료를 제시하며 "증세가 가벼운 환자가 81%로 대부분이고 폐렴이 진행되는 중증환자가 13.8%, 증상이 심각한 환자가 4.7%로 집계되는데 사망자는 모두 심각한 환자 중에서 발생했다"며 "국내 사례를 봐도 코로나19 환자는 폐렴이 있어도 심하게 느끼지 못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고, 산소를 공급해주면 회복한다"고 설명했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운영센터장 역시 "모든 환자를 입원시키는 데는 자원에 한계가 있다"면서 "경증 환자의 경우 집에서 머물며 약물을 복용하게 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임상위는 자가격리 치료가 가능한 환자의 기준도 정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경증 환자 중 만성질환이 없고 방을 혼자 쓸 수 있는 사람 등을 대상자로 보고 있다.
방 센터장은 또 "국내 코로나19 관련 사망자의 경우 폐질환이나 만성신부전 등을 앓는 등 건강이 좋지 않고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였다"면서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와 고령자가 생활하는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는 바이러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3번째 사망자의 경우 임상 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 관련성을 알기 어렵고, 11번째 사망자의 경우 의료진은 간이 망가진 것을 주 사망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3번째 사망자는 경북 경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41세 남성이다.
22일 사후 검사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11번째 사망자는 36세 몽골인 남성이다.
이 환자는 기저질환으로 간경화를 앓고 있었고 정확한 사망 원인은 조사 중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역시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망 사례는 대부분 기저질환이 있거나 신체 상태가 취약한 상태에서 발생했다"면서 "대부분 경증이지만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만성질환자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간의 방문을 삼가는 것이 중요하고 각 지방자치단체는 집단시설 및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는 없는 상태다.
다만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자, 중증인 경우에 에이즈치료제인 칼레트라와 말라리아 약제인 클로로퀸 등을 투여하고 있다.
임상위는 이 밖에 에볼라 치료제인 램데스비르의 경우 다른 연구 결과를 지켜본 뒤 사용을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연합뉴스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1천명을 넘어선 가운데, 증상이 미미한 환자는 집에서 경과를 지켜보는 '자가격리 치료'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료계 제언이 나왔다.
인력과 병상 등 의료자원의 한계가 있으니 환자가 더 늘어날 때를 대비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증세가 가벼운 환자는 집에 있고 중증이면 2·3차 의료기관 찾고, 심각한 상태면 인공호흡기 등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배정해 사망률을 낮추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한 사례를 보면 (환자 발생) 두 달쯤 뒤에 정점에 갔다고 볼 수 있는데 국내에서도 앞으로 당분간 환자 수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국공립 의료기관에 5천개 병상이 준비돼 있는데, 증상이 가벼운 환자가 집에 있다면 확진자 수가 2만 명 정도가 될 때까지 감당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중국 보건당국 자료를 제시하며 "증세가 가벼운 환자가 81%로 대부분이고 폐렴이 진행되는 중증환자가 13.8%, 증상이 심각한 환자가 4.7%로 집계되는데 사망자는 모두 심각한 환자 중에서 발생했다"며 "국내 사례를 봐도 코로나19 환자는 폐렴이 있어도 심하게 느끼지 못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고, 산소를 공급해주면 회복한다"고 설명했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운영센터장 역시 "모든 환자를 입원시키는 데는 자원에 한계가 있다"면서 "경증 환자의 경우 집에서 머물며 약물을 복용하게 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임상위는 자가격리 치료가 가능한 환자의 기준도 정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경증 환자 중 만성질환이 없고 방을 혼자 쓸 수 있는 사람 등을 대상자로 보고 있다.
방 센터장은 또 "국내 코로나19 관련 사망자의 경우 폐질환이나 만성신부전 등을 앓는 등 건강이 좋지 않고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였다"면서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와 고령자가 생활하는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는 바이러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3번째 사망자의 경우 임상 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 관련성을 알기 어렵고, 11번째 사망자의 경우 의료진은 간이 망가진 것을 주 사망 원인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3번째 사망자는 경북 경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41세 남성이다.
22일 사후 검사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11번째 사망자는 36세 몽골인 남성이다.
이 환자는 기저질환으로 간경화를 앓고 있었고 정확한 사망 원인은 조사 중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 역시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망 사례는 대부분 기저질환이 있거나 신체 상태가 취약한 상태에서 발생했다"면서 "대부분 경증이지만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만성질환자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공간의 방문을 삼가는 것이 중요하고 각 지방자치단체는 집단시설 및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활동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는 없는 상태다.
다만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자, 중증인 경우에 에이즈치료제인 칼레트라와 말라리아 약제인 클로로퀸 등을 투여하고 있다.
임상위는 이 밖에 에볼라 치료제인 램데스비르의 경우 다른 연구 결과를 지켜본 뒤 사용을 검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