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시진핑 상반기 방한 예정대로 추진…구체적 시기 '조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 사태 추이 따라 방한 시기 정해질 것으로 관측
코로나19 여파 한국기업 지원·사드갈등 근본적 해결 등 시급성 고려한 듯 한중 정상이 올해 상반기로 예정됐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 방한을 계획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한중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이 어렵다는 관측도 있었으나 양국 정상이 기존 원칙을 다시금 확인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후 시 주석과 취임 후 네 번째 한중 정상통화를 하고 코로나 19 대응과 관련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통화에서 두 정상은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을 변함없이 추진하기로 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강 대변인은 "구체적인 방한 시기는 외교 당국 간에 조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이 실제로 올해 상반기 한국을 찾게 된다면 이는 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이자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 중인 2014년 7월 국빈 방한에 이어 6년 만의 방한이다.
양국 사이에서 시 주석의 국빈 방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오가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이었다.
문 대통령은 당시 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올해 방한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후 양국은 시 주석의 구체적 방한 시기를 조율하기 시작했고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달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시 주석의 방한이 상반기 중 예정돼 있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의 방한 시기를 3월 중 혹은 4월 총선 이후로 점쳤지만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등장하면서 상반기 방한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한중 정상이 시 주석의 방한을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하면서 양국은 코로나19 대응 추이에 따라 방한 시기를 다시 조율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 주석의 방한이 5∼6월에 가서야 성사될 가능성도 작지 않다.
양국이 시 주석의 방한 원칙을 고수하는 것은 양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장기화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 사태로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피해가 막대한 만큼 이를 해결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양국 정상의 조속한 회담이 필요할 전망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로 촉발된 양국 갈등이 '봉인'된 가운데 이를 완전히 해결할 방안, 사드 배치에 대응해 한류 금지 등으로 대응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을 완벽히 해제하는 문제도 시급한 현안이라 할 수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 한국기업 지원·사드갈등 근본적 해결 등 시급성 고려한 듯 한중 정상이 올해 상반기로 예정됐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 방한을 계획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한중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이 어렵다는 관측도 있었으나 양국 정상이 기존 원칙을 다시금 확인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후 시 주석과 취임 후 네 번째 한중 정상통화를 하고 코로나 19 대응과 관련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통화에서 두 정상은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을 변함없이 추진하기로 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강 대변인은 "구체적인 방한 시기는 외교 당국 간에 조율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이 실제로 올해 상반기 한국을 찾게 된다면 이는 문 대통령 취임 후 처음이자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 중인 2014년 7월 국빈 방한에 이어 6년 만의 방한이다.
양국 사이에서 시 주석의 국빈 방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오가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이었다.
문 대통령은 당시 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올해 방한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후 양국은 시 주석의 구체적 방한 시기를 조율하기 시작했고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달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시 주석의 방한이 상반기 중 예정돼 있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의 방한 시기를 3월 중 혹은 4월 총선 이후로 점쳤지만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가 등장하면서 상반기 방한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한중 정상이 시 주석의 방한을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하면서 양국은 코로나19 대응 추이에 따라 방한 시기를 다시 조율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 주석의 방한이 5∼6월에 가서야 성사될 가능성도 작지 않다.
양국이 시 주석의 방한 원칙을 고수하는 것은 양국의 시급한 현안 해결을 장기화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 사태로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피해가 막대한 만큼 이를 해결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양국 정상의 조속한 회담이 필요할 전망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로 촉발된 양국 갈등이 '봉인'된 가운데 이를 완전히 해결할 방안, 사드 배치에 대응해 한류 금지 등으로 대응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을 완벽히 해제하는 문제도 시급한 현안이라 할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