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 절반 들어간 수영장…강습료 할인·구민 우선 등록권 논란

대구 수성구의회가 다음 달 1일 대구농업마이스터고에 개장하는 수영장 강습료 인하를 요구하며 피켓 시위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예산 투입했으니 강습료 내려"…대구 수성구의회 피켓시위
대구 수성구의회 김희섭 의장과 최진태 부의장은 17일 대구시교육청 앞에서 피켓 시위를 하며 강습료 인하를 촉구했다.

해당 수영장은 2018년 10월 착공해 연면적 1천262㎡ 규모로 최근 준공한 시설이다.

600㎡ 넓이 풀(25m 6레인)과 샤워실, 탈의실, 강사실, 의무실, 관리사무실 등 설비를 갖췄다.

시교육청은 2014년 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생존수영' 교육 수요가 늘고 수성구에 학생 수 대비 수영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건립을 추진했다.

시교육청이 부담한 학교 부지와 2억6천만원 외에 정부 특별교부금 30억원, 시비 18억원, 구비 14억3천여만원 등 모두 64억여원이 투입됐다.

시교육청은 인근 10여개 초등학교 학생 2천500여명의 수영 실기교육에 활용하고, 새벽과 야간, 주말 등 교육 수요가 없는 시간대는 주민에게 개방키로 했다.

최고가 입찰 방식으로 선정된 운영업체는 수성구내 다른 사설 수영장보다 강습료를 낮게 책정했다.

수성구 주민에게는 우선 등록권을 주기로 했다.

주5일 강습을 기준으로 농업마이스터고에서 1㎞가량 떨어진 덕원고 수영장 강습료는 월 13만5천원이지만 이 수영장은 13만원이다.

김희섭 의장은 "시교육청 낙찰 예정가격은 2억6천만원인데 3억9천만원을 써낸 업체가 선정됐다"며 "업체가 수익을 보장받기 위해 고액 강습료를 책정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구비 14억여원을 투입한 만큼 수성구민에게는 강습료를 인하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학교체육시설인 학교 수영장은 관련법에 따라 최고가 입찰로 위탁운영자를 선정하고, 위탁운영자가 가격을 결정한다"며 "법 개정 없이 사용료를 할인할 경우 위법 소지가 있다"고 반박했다.

수영장 인근인 경북 경산시 정평동 한 주민은 "집에서 가까운 곳에 새로 수영장이 개장한다고 해서 관심이 많았는데 수성구민에게 우선 등록권을 준다고 해 실망했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그는 "대구시와 수성구 예산이 투입됐다고는 하지만 국비가 절반가량 들어갔는데 수성구민에게만 우선 등록권을 주고 강습료까지 혜택을 줘야 한다는 지역 이기주의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