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집단 발생해 일본 요코하마 항에 발이 묶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한 객실 발코니에 지난 15일 태극기가 걸려 있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집단 발생해 일본 요코하마 항에 발이 묶인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한 객실 발코니에 지난 15일 태극기가 걸려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일본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선('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타고 있는 한국인을 국내로 데려온 후 2주간 임시생활시설에 격리해 보호·관찰하기로 했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부본부장은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현지 공관을 통해 개별적으로 귀국 희망 의사가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부본부장은 "일본에 머물고 있는 크루즈선 승객과 승무원들이 귀국을 희망하고 있다"며 "다만 몇 분이라고 정확하게 말하기에는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현재로서는 (크루즈선 상황이) 위험이 있을 것으로 본다"며 "우한 교민을 귀국시킨 뒤 이송한 사례와 마찬가지로 14일 정도 보호·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 전원에게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한 뒤 음성 판정자에 한해 오는 19일부터 하선시킨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정부에 따르면 이 크루즈선에 탑승한 한국인 승선자는 14명(승객 9명·승무원 5명)이다. 또 승객 중 6명은 일본 특별영주권자 또는 영주권자이며 나머지 3명 중 2명도 일본에서 주로 생활하고 있다. 국내 연고자는 1명이다. 승무원의 경우 5명 중 국내 연고자는 2명이다.

현재까지 이들 모두 코로나19에 감염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외교부는 한국인 14명 중 국내 연고자가 3명에 불과한데다 일본은 우한과 달리 의료체계와 한국행 교통수단이 제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이유 등으로 국내 이송을 추진하지 않았다.

그러나 크루즈선 내 감염자가 계속 증가하고 미국, 캐나다, 홍콩, 대만 등도 선내 자국민 철수를 위해 전세기를 보내기로 하면서 입장을 바꿨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