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우한 폐렴 공포가 전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지난 24일 김포공항에서 마스크를 쓴 이용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국발 우한 폐렴 공포가 전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지난 24일 김포공항에서 마스크를 쓴 이용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우한 폐렴과 관련 사실과 동떨어진 정보를 모니터링 및 삭제하겠다고 밝혔다.

방심위는 27일 "국민들의 혼란과 불안감을 고조시키는 등 불필요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해 중점 모니터링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면서 "국내 사이트 게시물에 대해서 '해당정보의 삭제' 조치와 더불어 포털 등 사업자에게 유사한 내용의 게시물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유통방지 활동을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준석 새로운보수당 젊은정당비전위원장은 28일 페이스북을 통해 "인터넷 검열"이라고 비판했다. 정치권에서는 정부가 가짜뉴스를 빌미로 언론을 통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위원장은 "광우병 선동이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노래까지 부르고 집단으로 춤춘 '사드 전자파 튀김' 선동에 비하면 우한 폐렴 관련 선동은 나는 인지도 못하겠다"면서 "슬그머니 검열, 삭제 들어가려는 것을 보니 (현 정부의)중국 사대가 장난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한편 청와대는 '우한 폐렴'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보도해달라고 언론에 공지했다.

청와대가 우한 폐렴 대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명칭을 공지한 것은 외교적 부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우리나라 외교가 친중(親中) 노선으로 기울었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최근 "만약 북한 비핵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한미군이 철수하면 중국이 한국에 '핵우산'을 제공하고 그 상태로 북한과 협상을 하는 방안은 어떻겠느냐"고 발언하기도 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