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용암수 오리온에 물 공급 시한 카드 꺼내…31일까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협의 불발시 다음 달 용암해수 공급 중단…도 "원만히 해결될 것"
'제주 용암수'를 국내 온라인 시판한 오리온에 대해 제주도가 이달 말까지를 용암해수 공급 협의 시한으로 제시했다.
제주도는 용암해수(염지하수)를 이용해 제주 용암수를 국내 판매하고 있는 오리온에 31일까지 도와 합의에 이르지 않으면 용암해수를 더 공급하지 않는 조건을 달아 협상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화산섬인 제주 자원 중 하나인 용암해수는 바닷물이 화산암반층에 의해 자연 여과돼 땅속으로 스며든 물이다.
식수원으로 이용되는 담수 지하수의 경우 자원 고갈의 우려가 있지만 용암해수는 상대적으로 자원 고갈 우려가 적다.
화산암반층을 통과하면서 미네랄과 영양염류는 물론, 아연, 철, 망간 등 몸에 좋은 희귀 미네랄도 다량 함유됐다.
도는 용암해수가 제주 지하수보다 자원이 풍부하더라도 막대한 양을 쓰다 보면 고갈할 우려가 있다면서 용암해수 역시 공공재 개념으로 관리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공수화(公水化) 원칙상 용암해수를 이용한 오리온의 제품은 국외 판매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 오리온 제주용암수가 지방공기업인 제주도개발공사의 제주삼다수와 생수시장에서 경쟁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반면 오리온은 용암해수 이용 허가지역인 용암해수센터의 입주 기업으로 오래전부터 용암해수를 관리하는 제주테크노파크에 공급 계약을 신청한 상태라며 용암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당연한 권리가 있다고 반론하고 있다.
허인철 오리온그룹 총괄부회장은 지난해 12월 "제주 용암수가 공공재라고 인식한다.
용암수를 가지고 해외나 국내에서 사업을 할 때 이익의 상당 부분을 발전 기금이나 제주를 위해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오리온은 국외 판매에 대해 중국과 1차 계약을 맺었고 베트남 등과도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외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리온은 2016년 제주 기업인 '제주용암수' 지분을 인수한 후 1천200억원을 투자해 공장을 설립하고, 지난해 12월부터는 국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오리온은 현재 제주테크노파크로부터 임시로 사용 허가를 받아 하루 300∼350t의 제주 용암수를 생산할 수 있는 1천t의 용암해수를 공급받고 있다.
오리온 측은 도가 용암해수를 추가로 공급하지 않는다면 편의점 등 매장 판매가 불가능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31일까지 오리온과의 협상을 원만히 끝내 용암해수 공급 중단 사태는 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용암해수는 2008년 제주특별법을 개정해 '제주도지사가 지정·고시하는 지역'에 한해 예외적으로 제조·판매를 허용했다.
이후 2011년 제주시 구좌읍에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를 건립하면서 용암해수산업단지가 용암해수 제조·판매 허가 지역이 됐다.
/연합뉴스
'제주 용암수'를 국내 온라인 시판한 오리온에 대해 제주도가 이달 말까지를 용암해수 공급 협의 시한으로 제시했다.
제주도는 용암해수(염지하수)를 이용해 제주 용암수를 국내 판매하고 있는 오리온에 31일까지 도와 합의에 이르지 않으면 용암해수를 더 공급하지 않는 조건을 달아 협상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화산섬인 제주 자원 중 하나인 용암해수는 바닷물이 화산암반층에 의해 자연 여과돼 땅속으로 스며든 물이다.
식수원으로 이용되는 담수 지하수의 경우 자원 고갈의 우려가 있지만 용암해수는 상대적으로 자원 고갈 우려가 적다.
화산암반층을 통과하면서 미네랄과 영양염류는 물론, 아연, 철, 망간 등 몸에 좋은 희귀 미네랄도 다량 함유됐다.
도는 용암해수가 제주 지하수보다 자원이 풍부하더라도 막대한 양을 쓰다 보면 고갈할 우려가 있다면서 용암해수 역시 공공재 개념으로 관리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공수화(公水化) 원칙상 용암해수를 이용한 오리온의 제품은 국외 판매만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 오리온 제주용암수가 지방공기업인 제주도개발공사의 제주삼다수와 생수시장에서 경쟁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반면 오리온은 용암해수 이용 허가지역인 용암해수센터의 입주 기업으로 오래전부터 용암해수를 관리하는 제주테크노파크에 공급 계약을 신청한 상태라며 용암해수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당연한 권리가 있다고 반론하고 있다.
허인철 오리온그룹 총괄부회장은 지난해 12월 "제주 용암수가 공공재라고 인식한다.
용암수를 가지고 해외나 국내에서 사업을 할 때 이익의 상당 부분을 발전 기금이나 제주를 위해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오리온은 국외 판매에 대해 중국과 1차 계약을 맺었고 베트남 등과도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외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리온은 2016년 제주 기업인 '제주용암수' 지분을 인수한 후 1천200억원을 투자해 공장을 설립하고, 지난해 12월부터는 국내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오리온은 현재 제주테크노파크로부터 임시로 사용 허가를 받아 하루 300∼350t의 제주 용암수를 생산할 수 있는 1천t의 용암해수를 공급받고 있다.
오리온 측은 도가 용암해수를 추가로 공급하지 않는다면 편의점 등 매장 판매가 불가능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31일까지 오리온과의 협상을 원만히 끝내 용암해수 공급 중단 사태는 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용암해수는 2008년 제주특별법을 개정해 '제주도지사가 지정·고시하는 지역'에 한해 예외적으로 제조·판매를 허용했다.
이후 2011년 제주시 구좌읍에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를 건립하면서 용암해수산업단지가 용암해수 제조·판매 허가 지역이 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