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서울·부산·광주 등에 우선 시행…2022년까지 전국에 구축
정부의 통합 관제 시스템에서 수돗물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소비자에게 맞춤형 수돗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가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전국에 도입된다.

환경부는 올해 상반기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을 세운 뒤 하반기에 서울, 부산, 광주 등 특·광역시를 포함한 44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스마트 관리체계가 우선 도입된다고 7일 밝혔다.

이후 2022년까지 전국에 스마트 관리체계를 순차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총사업비 약 1조4천억원이 드는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사업은 수질, 수량, 수압 모니터링 장치와 자동 배수 설비 등을 관망에 설치해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질, 유량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수돗물 사고가 발생하면 오염된 수돗물을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가정을 직접 방문해 수돗물 수질검사를 하는 '워터 코디'와 옥내 배관의 진단·세척 서비스를 제공하는 '워터 닥터' 등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도 스마트 관리체계에 포함된다.

스마트 관리체계는 지난해 5월 일어난 인천 붉은 수돗물과 비슷한 사태의 재발을 막고 수돗물 신뢰도를 높이자는 취지에서 추진된다.

올해 본격 도입에 앞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파주에서 시범사업으로 시행된 바 있다.

스마트 관리체계가 도입되면 상수도 시설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고 신속히 대처해 수돗물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고 환경부는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실제 시범 사업이 추진된 파주시의 수돗물 직접 음용률(2016년 기준)은 전국 평균(7.2%)보다 5배 이상 높은 36.3%다.

아울러 노후 상하수도 교체·개량 중심 행정을 전환해 수도시설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르면 올해 말 44개 지자체 주민들은 수돗물 수질 관련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며 "'워터 코디', '워터 닥터'는 당장 도입하기는 어렵고 스마트 관리체계가 어느 정도 구축한 이후 시행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1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 정책·기술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에서는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 사업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주요 기술별 설계 기준을 논의한다.

수도시설 잔존 수명을 예측하고 적기에 보수해 사고를 예방하는 '생애주기 관리체계(자산관리)' 시범 사업 추진방안도 논의 대상에 오른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스마트 관리체계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깨끗한 물이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