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자 63%가 80세 이상 고령…'한반도 난기류'에 상봉도 기약 없어
올해 이산가족 3천100명 눈감아…제3국 통한 교류도 '뚝'
올 한해에도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3천100여 명이 끝내 이산의 한을 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한적)에 따르면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1988년부터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가운데 3천147명이 지난 1∼11월 사이 사망했다.

앞서 2017년에는 3천795명이, 2018년에는 4천914명이 꿈에도 그리던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눈을 감았다.

11월 30일 기준으로 한적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총 13만3천365명으로 이 중 생존자는 5만2천997명(39.7%)이다.

10명 중 6명이 상봉을 기다리다 사망한 셈이다.

이산가족 연간 사망자는 고령화로 매년 늘어난 것으로 전망된다.

'90세 이상' 생존자는 1만2천115명(22.9%), '80∼89세'는 2만1천442명(40.5%)으로 전체의 63.4%가 80세 이상의 고령자다.

제3국을 통한 민간차원의 생사확인과 서신왕래도 간신히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올해 이산가족 3천100명 눈감아…제3국 통한 교류도 '뚝'
2000년대 초중반만 해도 제3국을 통해 이뤄진 개인 차원의 생사확인은 한해 300∼400건에 달했지만, 2011년 이후 한 자릿수로 떨어졌고 올해 들어서는 단 2건에 그쳤다.

서신왕래 역시 많은 경우 한해 800∼900건에 달했다가 점점 감소해 올해는 단 16건에 머물렀다.

통일부 관계자는 "(민간차원의 이산가족 교류를) 주도하던 분들 스스로가 이산가족이었는데 이제 고령화로 활동을 못 하시는 상황"이라며 "민간 활동을 기대하긴 굉장히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당국 차원의 이산가족 교류는 당분간 엄두조차 내기 어려운 상황이다.

남북은 지난해 8월 금강산에서 3년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한 데 이어 9·19 평양 정상회담에서 상설면회소 개소, 화상 상봉, 영상 편지 교환 등에 합의했지만, 올해 2월 '하노이 노딜' 여파에 남북관계마저 얼어붙으면서 실행단계로 나아가지 못했다.

정부는 향후 남북 간 대화가 재개되면 북측과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최우선으로 협의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비핵화 협상을 둘러싸고 한반도가 또다시 난기류에 휩싸인 상황이어서 새해에도 돌파구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