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뒷바라지해야 할 자녀가 있고, 갚아야할 빚도 많은 중장년층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그나마 있는 일자리도 변변치 않은 상황에서 구조조정의 최일선으로 내몰리고 있는 이들의 현실을 지수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40세 이상 64세 이하 중장년층 임금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임금이 낮고 근속년수는 짧은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DVERTISEMENT

통계청에 따르면 중장년 직장인의 53%가 3년 미만 단기 일자리에서 근무하고 있고 이들 중 3분의 2가 200만 원이 채 안 되는 급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갚아야 할 빚과 부양해야 할 가족은 많은 상황입니다.

중장년층 60%가 자녀와 함께 살고 있으며 대부분 어리거나 성인이어도 미취업 자녀가 있습니다.

ADVERTISEMENT

금융기관 대출도 연간 소득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창 일을 해야 하고 나갈 돈이 많은 시기이지만 최근 제조업 구조조정 여파로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습니다.

중장년층 비임금 근로자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ADVERTISEMENT

대부분 종사자 4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3년을 채 못 버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이들을 위한 대책을 제대로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돈으로 만들어낸 단기 일자리만 늘어나고 있을 뿐 경제 허리인 40대 고용참사를 막기 위한 대책은 여전히 미흡합니다.

<인터뷰>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지난 19일 2020경제정책방향 브리핑)

"이번에 40대 대한 고용(기업에)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방안을 담았습니다. 40대 고용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공급뿐 아니라 수요측면 정책까지 한꺼번에 담아야합니다. 이 부분은 내년 3월 까지.."

정부가 경기둔화로 촉발된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뾰족한 수를 내놓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지수희입니다.

지수희기자 shji6027@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