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학에 자율권 부여해 AI 인재양성 경쟁하게 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부가 발표한 ‘전문대 혁신 방안’에서 눈에 띄는 정책은 직업계고와 전문대 교육 과정을 통합한 인공지능(AI) 계약학과 도입이다. 고등학교에서 AI 기본교육을 받고, 전문대에 진학한 뒤 산업체를 오가며 심화교육과 현장 실무교육을 이수하면 취업을 보장해 주는 제도다. AI 인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다양한 양성 경로를 마련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AI 인력 범위는 매우 넓다. AI 기술수준과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AI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 AI 플랫폼과 시스템을 개발하는 인력, AI 모델과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인력, AI를 과학으로 다루는 인력 등 기업이 원하는 수요는 다 다르다. 현재 정부가 지정해 지원하고 있는 ‘AI 대학원’은 고급 연구인력 양성을 지향하고 있어 실무인력 수요는 충족하기 어렵다.
정부가 전문대 학사제도를 유연하게 개편하겠다면 규제를 풀어 더 많은 자율을 줄 필요가 있다. AI 계약학과만 해도 그렇다. 정부가 틀에 박힌 프로그램을 제시할 게 아니라, 전문대에 설계와 운영 권한을 넘겨준다면 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맞춰 차별화 경쟁이 일어날 것이다. 2021년부터 도입하겠다는 ‘마이스터대’(일과 학습을 병행하면서 석사학위까지 취득할 수 있는 전문대)를 AI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일반대에 대한 규제 개혁도 절실하다. 정부는 AI 국가전략을 통해 대학 결손 인원(제적 또는 퇴학 인원)을 활용해 컴퓨터공학과 등의 정원을 늘리도록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그렇게 해서는 시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정부가 정원 통제, 수도권 규제 등을 풀면 대학이 AI 양성에 능동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이 배출한 인력을 시장이 평가하고 그 정보가 다시 대학 교육에 반영되는 게 선진국의 인재 양성 방식이다. 일반대·전문대가 각자의 특성을 살려 경쟁한다면 AI 인재 부족과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I 인력 범위는 매우 넓다. AI 기술수준과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AI를 활용할 수 있는 인력, AI 플랫폼과 시스템을 개발하는 인력, AI 모델과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인력, AI를 과학으로 다루는 인력 등 기업이 원하는 수요는 다 다르다. 현재 정부가 지정해 지원하고 있는 ‘AI 대학원’은 고급 연구인력 양성을 지향하고 있어 실무인력 수요는 충족하기 어렵다.
정부가 전문대 학사제도를 유연하게 개편하겠다면 규제를 풀어 더 많은 자율을 줄 필요가 있다. AI 계약학과만 해도 그렇다. 정부가 틀에 박힌 프로그램을 제시할 게 아니라, 전문대에 설계와 운영 권한을 넘겨준다면 기업의 다양한 수요에 맞춰 차별화 경쟁이 일어날 것이다. 2021년부터 도입하겠다는 ‘마이스터대’(일과 학습을 병행하면서 석사학위까지 취득할 수 있는 전문대)를 AI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만하다.
일반대에 대한 규제 개혁도 절실하다. 정부는 AI 국가전략을 통해 대학 결손 인원(제적 또는 퇴학 인원)을 활용해 컴퓨터공학과 등의 정원을 늘리도록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그렇게 해서는 시장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정부가 정원 통제, 수도권 규제 등을 풀면 대학이 AI 양성에 능동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이 배출한 인력을 시장이 평가하고 그 정보가 다시 대학 교육에 반영되는 게 선진국의 인재 양성 방식이다. 일반대·전문대가 각자의 특성을 살려 경쟁한다면 AI 인재 부족과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