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흡연율 32% OECD 최상위권…여성은 3.5% 최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9' 결과
성인 남성 흡연율 지속 하락…상위 소득계층 흡연율 급락
남녀 모두 '고위험 음주 기준' 해당하는 과음
우리나라 만 15세 이상 남성 가운데 매일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서 최상위권에 자리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9'를 보면 2017년 기준 만 15세 이상 남성의 흡연율은 31.6%였다.
이는 OECD 주요국 가운데 터키(40.1%)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일본(29.4), 프랑스(25.8%), 스페인(25.6%), 이탈리아(25.1%), 독일(22.3%), 영국(19.1%), 멕시코(12.0%), 미국(11.5%), 스웨덴(10.5%) 등은 10~20%대였다.
반면 만 15세 이상 여성 흡연율은 3.5%로 OECD 최하였다.
이러한 남녀 간 흡연율 차이는 여성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통계청은 해석했다.
다만 성인 남성 흡연율이 모든 연령대에서 계속 떨어지고 있다.
특히 상위 소득계층에서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흡연율'(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비율)을 기준으로 볼 때 15세 이상 성인 남성은 1998년 66.3%, 2005년 51.7%, 2010년 48.3%, 2016년 40.7%, 2017년 38.1%로 하락 추세다.
또 1998~2017년 소득계층별 하락폭을 보면 상층이 35.7%포인트, 중상층 이하는 25~28%포인트를 기록해 상위 소득계층에서 크게 하락했다.
2017년 기준으로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6~7%의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20대(9.7%)와 30대(6.8%) 여성의 흡연율은 점차 상승하는 모습이다.
청소년 흡연율은 2018년 기준 남고생 14.1%, 남중생 3.9%, 여고생 5.1%, 여중생 2.1%를 각각 기록했다.
◇ 7잔·5잔 이상씩 주2회 고위험음주율, 남성 21%, 여성 7.2%
만 19세 이상 인구 중 최근 1개월 동안 1회 이상 음주한 사람을 뜻하는 월간 음주자 가운데 전 연령의 평균 음주량이 '고위험 음주' 기준을 넘어섰다.
고위험 음주 기준은 주당 알코올 섭취량이 남성은 100g(소주 1병당 약 49g), 여성은 70g이다.
남성의 경우 월 1회 이상 음주자의 모든 연령대에서 주간 알코올 섭취 총량(2018년 기준)이 200g 이상(매주 소주 4~5병 수준)으로 고위험 음주군에 속했다.
월 1회 이상 음주 여성의 경우 20대와 30대가 주간 120g 이상(2병 반 정도)을, 40대는 94.2g(2병 가까이)을 마셨다.
우리나라 남녀 월간 음주자(2017년 기준 남성 74.0%, 여성 50.5%) 전 연령 집단의 주간 평균 음주량(남성 231g, 여성 107,1g)은 고위험음주 기준 이상이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알코올 섭취량(8.7ℓ)은 OECD 평균(8.9ℓ) 수준이지만 이는 일부 국민이 많은 양의 음주를 해 과음 문제를 일으키는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통계청은 지적했다.
고위험음주율(주 2회 이상 음주하며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성은 7잔 이상, 여성은 5잔 이상인 사람의 비율)은 2017년 기준 남성 21%, 여성 7.2%였다.
지난 10년간 고위험 음주율은 남성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여성은 2배가량 늘어났다.
◇ 소득별 건강 불평등 심화…상위 20% 기대수명이 하위 20%보다 6.48세 많아
소득분위별·시군구별 기대 수명에서 격차가 커지며 건강 불평등은 심화했다.
2004~2017년 소득 5분위별 기대수명을 보면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기대 수명 차이가 2004년 6.24세에서 2017년 6.48세로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 간 기대수명 차이는 2030년 6.73세로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시군구별 기대 수명의 경우 도시지역 기초자치단체의 기대 수명이 높은 반면, 농촌지역 기초자치단체의 기대 수명이 낮게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기대 수명이 낮은 지역에서 기대 수명의 소득 5분위 간 격차도 큰 양상을 보였다.
◇ 작년 비의도적 사고로 숨진 어린이 중 33%는 교통사고로 목숨 잃어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안전 취약계층은 높은 사고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 취약계층은 교통(운수)사고에 취약했다.
먼저 노인의 경우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2년 5천392명에서 2018년 3천781명으로 감소했으나, 노인 사망자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2년 34.6%에서 2018년 44.5%로 9.9%포인트 증가했다.
OECD 국가 중 노인 교통사고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노르웨이로 노인 인구 10만명당 3.6명 수준이었으나 한국은 25.6명으로 비교 대상 국가 중 가장 높고, OECD 평균인 8.8명에 비해서도 약 3배 수준이었다.
장애인 교통사고의 경우 2016년 기준 일반인 사망률 10.1명에 비해 32.5명으로 약 3배 이상 높았다.
장애인은 추락사고, 익사 사고, 화재 사고에 의한 사망률도 일반인보다 2~4배가량 높았다.
사고로 사망한 어린이 수는 1996년 2천521명에서 2007년 650명, 2018년 253명으로 20여년 간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다만, 지난해 비의도적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자 163명 중 54명(33.1%)은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0% 이상이 보행 중 교통사고였다.
/연합뉴스
성인 남성 흡연율 지속 하락…상위 소득계층 흡연율 급락
남녀 모두 '고위험 음주 기준' 해당하는 과음
우리나라 만 15세 이상 남성 가운데 매일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서 최상위권에 자리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9'를 보면 2017년 기준 만 15세 이상 남성의 흡연율은 31.6%였다.
이는 OECD 주요국 가운데 터키(40.1%)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일본(29.4), 프랑스(25.8%), 스페인(25.6%), 이탈리아(25.1%), 독일(22.3%), 영국(19.1%), 멕시코(12.0%), 미국(11.5%), 스웨덴(10.5%) 등은 10~20%대였다.
반면 만 15세 이상 여성 흡연율은 3.5%로 OECD 최하였다.
이러한 남녀 간 흡연율 차이는 여성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통계청은 해석했다.
다만 성인 남성 흡연율이 모든 연령대에서 계속 떨어지고 있다.
특히 상위 소득계층에서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흡연율'(평생 담배 5갑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비율)을 기준으로 볼 때 15세 이상 성인 남성은 1998년 66.3%, 2005년 51.7%, 2010년 48.3%, 2016년 40.7%, 2017년 38.1%로 하락 추세다.
또 1998~2017년 소득계층별 하락폭을 보면 상층이 35.7%포인트, 중상층 이하는 25~28%포인트를 기록해 상위 소득계층에서 크게 하락했다.
2017년 기준으로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6~7%의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20대(9.7%)와 30대(6.8%) 여성의 흡연율은 점차 상승하는 모습이다.
청소년 흡연율은 2018년 기준 남고생 14.1%, 남중생 3.9%, 여고생 5.1%, 여중생 2.1%를 각각 기록했다.
◇ 7잔·5잔 이상씩 주2회 고위험음주율, 남성 21%, 여성 7.2%
만 19세 이상 인구 중 최근 1개월 동안 1회 이상 음주한 사람을 뜻하는 월간 음주자 가운데 전 연령의 평균 음주량이 '고위험 음주' 기준을 넘어섰다.
고위험 음주 기준은 주당 알코올 섭취량이 남성은 100g(소주 1병당 약 49g), 여성은 70g이다.
남성의 경우 월 1회 이상 음주자의 모든 연령대에서 주간 알코올 섭취 총량(2018년 기준)이 200g 이상(매주 소주 4~5병 수준)으로 고위험 음주군에 속했다.
월 1회 이상 음주 여성의 경우 20대와 30대가 주간 120g 이상(2병 반 정도)을, 40대는 94.2g(2병 가까이)을 마셨다.
우리나라 남녀 월간 음주자(2017년 기준 남성 74.0%, 여성 50.5%) 전 연령 집단의 주간 평균 음주량(남성 231g, 여성 107,1g)은 고위험음주 기준 이상이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알코올 섭취량(8.7ℓ)은 OECD 평균(8.9ℓ) 수준이지만 이는 일부 국민이 많은 양의 음주를 해 과음 문제를 일으키는 우리나라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통계청은 지적했다.
고위험음주율(주 2회 이상 음주하며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성은 7잔 이상, 여성은 5잔 이상인 사람의 비율)은 2017년 기준 남성 21%, 여성 7.2%였다.
지난 10년간 고위험 음주율은 남성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여성은 2배가량 늘어났다.
◇ 소득별 건강 불평등 심화…상위 20% 기대수명이 하위 20%보다 6.48세 많아
소득분위별·시군구별 기대 수명에서 격차가 커지며 건강 불평등은 심화했다.
2004~2017년 소득 5분위별 기대수명을 보면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기대 수명 차이가 2004년 6.24세에서 2017년 6.48세로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 간 기대수명 차이는 2030년 6.73세로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시군구별 기대 수명의 경우 도시지역 기초자치단체의 기대 수명이 높은 반면, 농촌지역 기초자치단체의 기대 수명이 낮게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기대 수명이 낮은 지역에서 기대 수명의 소득 5분위 간 격차도 큰 양상을 보였다.
◇ 작년 비의도적 사고로 숨진 어린이 중 33%는 교통사고로 목숨 잃어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안전 취약계층은 높은 사고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 취약계층은 교통(운수)사고에 취약했다.
먼저 노인의 경우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2년 5천392명에서 2018년 3천781명으로 감소했으나, 노인 사망자가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2년 34.6%에서 2018년 44.5%로 9.9%포인트 증가했다.
OECD 국가 중 노인 교통사고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노르웨이로 노인 인구 10만명당 3.6명 수준이었으나 한국은 25.6명으로 비교 대상 국가 중 가장 높고, OECD 평균인 8.8명에 비해서도 약 3배 수준이었다.
장애인 교통사고의 경우 2016년 기준 일반인 사망률 10.1명에 비해 32.5명으로 약 3배 이상 높았다.
장애인은 추락사고, 익사 사고, 화재 사고에 의한 사망률도 일반인보다 2~4배가량 높았다.
사고로 사망한 어린이 수는 1996년 2천521명에서 2007년 650명, 2018년 253명으로 20여년 간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다만, 지난해 비의도적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자 163명 중 54명(33.1%)은 교통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0% 이상이 보행 중 교통사고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