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재발 불안감 높을수록 사망률 증가한다…"무려 2.5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조주희, 혈액종양내과 김석진,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2012년 2월부터 2017년 3월 사이 악성 림프종 환자 467명을 대상으로 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 정도와 실제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암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재발에 대한 두려움 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3세였고, B세포 림프종 환자가 전체의 75.8%를 차지했다. 전체 환자의 84%가 어느 정도 재발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고 답했고, 16%는 매우 심하다고 호소했다.
ADVERTISEMENT
추적 관찰기간(평균 3.1년) 연구 참여 환자 중 37명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89.2%가 림프종이 직접적 사인이었고, 나머지 10.8%는 폐렴 등 다른 질환 탓이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1천인년(person-years)으로 환산한 사망을 비교하면 두려움 정도가 심했던 환자군의 경우 46.6명, 대조군은 22.3명으로 조사됐다. 인년은 각 개인의 서로 다른 관찰기간을 합한 개념이다.
ADVERTISEMENT
특히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다고 알려진 저위험군 비호지킨성 림프종 환자의 경우에는 재발에 대한 심한 불안감을 가진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상대 위험도는 6.8배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또 이번 연구에서는 재발에 대한 두려움이 큰 환자들이 전반적인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김석진 교수는 "암 치료 성적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암에 대한 환자들의 두려움은 여전하다"면서 "암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은 충분한 교육을 통해 이겨낼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주희 교수는 "암환자에게 마음의 건강이 몸의 건강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힌 연구"라며 "앞으로 암 재발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환자들을 돕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주리기자 yuffie5@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