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뮤지컬 '빅 피쉬', 기발한 캐릭터·환상적 무대 연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날로그로 빚어낸 동화 속 세계
지난 4일 서울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개막한 뮤지컬 ‘빅 피쉬’는 신속한 장면 전환과 아날로그적인 연출 기법으로 다채롭고 풍성한 무대예술을 펼쳐낸다. 마녀, 거인, 늑대인간 등 참신한 상상력으로 빚어낸 캐릭터들은 환상적인 동화 속 세계로 안내한다.
‘빅 피쉬’는 대니얼 월러스의 원작 소설(1998년)과 팀 버튼 감독의 영화(2003년)로 잘 알려져 있다. 2013년 CJ ENM이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해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첫선을 보였다. 이번 무대는 한국어 라이선스 공연으로 제작됐다. 브로드웨이 출신 스콧 슈왈츠가 새롭게 연출했다. 극은 아들 윌이 아버지 에드워드의 진짜 인생을 알아가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허황된 상상 속 이야기를 마치 실제로 벌어진 것처럼 얘기해온 아버지에게 질려 있던 아들. 그러다 아버지의 병세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그가 하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시작한다.
무대는 에드워드의 과거와 현실로 구분돼 나타난다. 현실은 병실을 배경으로 단순하게 그려진다. 과거는 마녀가 있는 울창한 숲속, 거인이 있는 동굴, 늑대인간이 운영하는 서커스단 등 다양한 공간과 그 안을 가득 채우는 환상적 캐릭터들로 꾸며진다. 이 캐릭터들은 퍼펫(배우가 안에 들어가 연기하며 직접 조종하는 인형)으로 표현된다. 뮤지컬 ‘라이온킹’처럼 완벽한 수준의 퍼펫은 아니지만, 동화 콘셉트에 걸맞게 귀엽게 그려졌다. 1막의 마지막 장면은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웠다. 에드워드가 산드라에게 청혼할 때, 노란 수선화가 무대 바닥에 가득 깔린다. 넘버(삽입곡)도 재즈, 컨트리 음악 등을 섞은 듯 다양하게 펼쳐진다. ‘수선화’ ‘이야기의 주인공’ 등은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킬링 넘버’로 손색이 없었다.
에드워드 역을 맡은 손준호는 1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연기를 능숙하게 해냈다. 산드라 역의 김지우는 농익은 연기와 댄스로 극의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렸다. 윌을 연기한 이창용도 안정적인 호흡으로 조화를 이뤘다. 참신하지만 다소 엉뚱한 설정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이야기가 이질적으로 느껴지지 않고 감동적으로 다가온 것은 배우들의 힘이 컸다.
하지만 극 초반 전개는 정교하게 다듬어지지 않은 느낌이었다. 어린 윌에게 에드워드가 허황된 이야기를 한 뒤 인어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무대에 나오는 장면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았다. 극 마지막에 윌이 에드워드의 진정한 의도를 깨닫는 순간이 짧게 다뤄진 것도 아쉬웠다. 작품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가 담긴 장면인 만큼 보다 깊은 울림이 전해지도록 연출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공연은 내년 2월 9일까지.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빅 피쉬’는 대니얼 월러스의 원작 소설(1998년)과 팀 버튼 감독의 영화(2003년)로 잘 알려져 있다. 2013년 CJ ENM이 공동 프로듀서로 참여해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첫선을 보였다. 이번 무대는 한국어 라이선스 공연으로 제작됐다. 브로드웨이 출신 스콧 슈왈츠가 새롭게 연출했다. 극은 아들 윌이 아버지 에드워드의 진짜 인생을 알아가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허황된 상상 속 이야기를 마치 실제로 벌어진 것처럼 얘기해온 아버지에게 질려 있던 아들. 그러다 아버지의 병세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게 되고, 그가 하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시작한다.
무대는 에드워드의 과거와 현실로 구분돼 나타난다. 현실은 병실을 배경으로 단순하게 그려진다. 과거는 마녀가 있는 울창한 숲속, 거인이 있는 동굴, 늑대인간이 운영하는 서커스단 등 다양한 공간과 그 안을 가득 채우는 환상적 캐릭터들로 꾸며진다. 이 캐릭터들은 퍼펫(배우가 안에 들어가 연기하며 직접 조종하는 인형)으로 표현된다. 뮤지컬 ‘라이온킹’처럼 완벽한 수준의 퍼펫은 아니지만, 동화 콘셉트에 걸맞게 귀엽게 그려졌다. 1막의 마지막 장면은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웠다. 에드워드가 산드라에게 청혼할 때, 노란 수선화가 무대 바닥에 가득 깔린다. 넘버(삽입곡)도 재즈, 컨트리 음악 등을 섞은 듯 다양하게 펼쳐진다. ‘수선화’ ‘이야기의 주인공’ 등은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킬링 넘버’로 손색이 없었다.
에드워드 역을 맡은 손준호는 1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연기를 능숙하게 해냈다. 산드라 역의 김지우는 농익은 연기와 댄스로 극의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렸다. 윌을 연기한 이창용도 안정적인 호흡으로 조화를 이뤘다. 참신하지만 다소 엉뚱한 설정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이야기가 이질적으로 느껴지지 않고 감동적으로 다가온 것은 배우들의 힘이 컸다.
하지만 극 초반 전개는 정교하게 다듬어지지 않은 느낌이었다. 어린 윌에게 에드워드가 허황된 이야기를 한 뒤 인어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무대에 나오는 장면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았다. 극 마지막에 윌이 에드워드의 진정한 의도를 깨닫는 순간이 짧게 다뤄진 것도 아쉬웠다. 작품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가 담긴 장면인 만큼 보다 깊은 울림이 전해지도록 연출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공연은 내년 2월 9일까지.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