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위구르 '제2의 홍콩 사태' 터질라…위협 느낀 한족, 이탈 행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하원 '신장인권법' 통과 계기
국제적 주목 받자 신변안전 걱정
본토인·기업 공격 당한 홍콩처럼
反中 시위 벌어질 가능성 커져
국제적 주목 받자 신변안전 걱정
본토인·기업 공격 당한 홍콩처럼
反中 시위 벌어질 가능성 커져
중국 최대 자치구인 신장위구르에서 떠나는 중국 한족(漢族)들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 하원이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위구르법’을 통과시키는 등 최근 들어 국제적인 주목을 받자 ‘제2의 홍콩 사태’가 벌어질 것을 우려해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 시위로 반(反)중국 정서가 커지자 신변의 안전을 걱정한 신장위구르 한족들의 이탈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5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2010년 신장위구르에 거주하는 한족은 88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5년 기준 한족 인구는 860만 명에 그쳐 전체의 36%로 감소했다. 올 들어 신장위구르에 사는 한족 인구는 이보다 더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정부는 신장위구르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로 공무원을 파견하고 한족의 이주를 적극 권장해왔다. 2017년 12월부터 공무원을 보내 현지 가정에서 생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규모가 큰 마을에는 10명 가까이 배치하고 중간 규모는 6명, 작은 마을엔 5명을 투입했다.
현재 112만 명의 중국 공무원이 파견돼 이슬람 민족인 위구르 가정에서 홈스테이 형식으로 생활하고 있다. 신장위구르 인구가 2200만 명 정도이고 이 중 절반이 위구르족인 것을 감안하면 공무원 한 명이 위구르족 10명을 직접 관리하는 셈이다. 중국 당국은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 빈곤을 퇴치하고 한족과 위구르족 간 단합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위구르족은 감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파견 공무원을 늘릴 방침이지만, 공무원들은 업무 강도가 높다는 등의 이유로 신장위구르에서의 근무를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 환경도 좋지 않아 자녀들을 다른 곳에 보내고 혼자 사는 공무원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또 마오쩌둥(毛澤東) 전 주석 시절부터 각종 우대책을 제시하며 한족을 대거 신장위구르로 이주시켰다. 꾸준한 이주 정책으로 한때 75%에 달했던 위구르족의 비중은 크게 줄었고 한족의 비중이 50%에 이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한족들은 생활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이곳을 떠나고 있다. SCMP는 “신장위구르는 대부분이 사막이어서 환경이 척박하다”며 “유목민 출신인 위구르족과 달리 농경민족인 한족은 정착하기가 쉽지 않다”고 전했다.
한족들은 여기에 홍콩 시위로 반중 정서가 커지면서 신장위구르에서도 위구르족의 대규모 반중 시위가 벌어질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09년부터 이곳에서는 고유 문화를 지키려는 위구르족 분리독립 세력의 테러가 끊이지 않고 있다. SCMP는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시위대가 중국계 기업과 본토 중국인들을 공격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신장위구르에서도 비슷한 사태가 일어날 것을 우려하는 한족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친강 중국 외교부 차관은 전날 윌리엄 클라인 주중 미국대사관 공사 참사관을 초치해 신장인권법안 통과와 관련, 강력히 항의했다. 친 차관은 이 자리에서 “우리는 미국이 즉시 잘못을 바로잡고, 신장위구르 문제를 빌미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중국 전체 면적의 17%를 차지하는 신장위구르자치구는 러시아, 인도, 몽골,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8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중국 탄화수소 매장량의 25%, 석탄 매장량의 35%를 차지하는 등 자원이 풍부하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중국은 1949년 군대를 보내 이곳을 점령한 뒤 중국 영토로 편입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 시위로 반(反)중국 정서가 커지자 신변의 안전을 걱정한 신장위구르 한족들의 이탈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5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2010년 신장위구르에 거주하는 한족은 883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5년 기준 한족 인구는 860만 명에 그쳐 전체의 36%로 감소했다. 올 들어 신장위구르에 사는 한족 인구는 이보다 더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정부는 신장위구르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로 공무원을 파견하고 한족의 이주를 적극 권장해왔다. 2017년 12월부터 공무원을 보내 현지 가정에서 생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규모가 큰 마을에는 10명 가까이 배치하고 중간 규모는 6명, 작은 마을엔 5명을 투입했다.
현재 112만 명의 중국 공무원이 파견돼 이슬람 민족인 위구르 가정에서 홈스테이 형식으로 생활하고 있다. 신장위구르 인구가 2200만 명 정도이고 이 중 절반이 위구르족인 것을 감안하면 공무원 한 명이 위구르족 10명을 직접 관리하는 셈이다. 중국 당국은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 빈곤을 퇴치하고 한족과 위구르족 간 단합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위구르족은 감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파견 공무원을 늘릴 방침이지만, 공무원들은 업무 강도가 높다는 등의 이유로 신장위구르에서의 근무를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 환경도 좋지 않아 자녀들을 다른 곳에 보내고 혼자 사는 공무원이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또 마오쩌둥(毛澤東) 전 주석 시절부터 각종 우대책을 제시하며 한족을 대거 신장위구르로 이주시켰다. 꾸준한 이주 정책으로 한때 75%에 달했던 위구르족의 비중은 크게 줄었고 한족의 비중이 50%에 이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한족들은 생활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이곳을 떠나고 있다. SCMP는 “신장위구르는 대부분이 사막이어서 환경이 척박하다”며 “유목민 출신인 위구르족과 달리 농경민족인 한족은 정착하기가 쉽지 않다”고 전했다.
한족들은 여기에 홍콩 시위로 반중 정서가 커지면서 신장위구르에서도 위구르족의 대규모 반중 시위가 벌어질 가능성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009년부터 이곳에서는 고유 문화를 지키려는 위구르족 분리독립 세력의 테러가 끊이지 않고 있다. SCMP는 “홍콩 시위가 격화하면서 시위대가 중국계 기업과 본토 중국인들을 공격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신장위구르에서도 비슷한 사태가 일어날 것을 우려하는 한족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친강 중국 외교부 차관은 전날 윌리엄 클라인 주중 미국대사관 공사 참사관을 초치해 신장인권법안 통과와 관련, 강력히 항의했다. 친 차관은 이 자리에서 “우리는 미국이 즉시 잘못을 바로잡고, 신장위구르 문제를 빌미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중국 전체 면적의 17%를 차지하는 신장위구르자치구는 러시아, 인도, 몽골,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8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중국 탄화수소 매장량의 25%, 석탄 매장량의 35%를 차지하는 등 자원이 풍부하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의 요충지이기도 하다. 중국은 1949년 군대를 보내 이곳을 점령한 뒤 중국 영토로 편입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