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500년전 가야 사슴모양뿔잔, 네 부분 접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립문화재연구소, CT로 제작기법 확인…"몸통은 비어"
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 45호분에서 올해 출토한 아라가야 사슴모양뿔잔은 네 부분을 각각 만든 뒤 접합해 완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5∼6세기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슴모양뿔잔을 X선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로 살펴본 결과, 원통형 뿔잔·몸체 상부·몸체 하부·굽다리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함안군과 두류문화재연구원 요청으로 이뤄졌으며, 토기 길이는 머리에서 꼬리까지 약 20㎝다.
사슴 머리는 몸체 하부로 연결되고, 그 위에 상부를 따로 덮은 것으로 조사됐다.
표면은 매끄럽게 다듬었고, 기벽 내부에는 바탕흙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손으로 누른 흔적이 있었다.
아울러 머리와 목 부분은 흙으로 가득 채웠으나, 원통형 뿔잔과 이에 연결된 몸체 내부는 액체를 채울 공간이 있다는 점도 알아냈다.
박종서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관은 "사슴 형상 머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몸체 바닥 부분을 먼저 만든 뒤 원통형 뿔잔과 붙은 몸체 상부를 접합하고, 굽다리 받침을 연결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센터가 사용한 장비는 12∼20㎛까지 조사가 가능하며, 익산 쌍릉 대왕릉에서 나온 인골 조사에도 활용됐다.
센터는 사슴모양뿔잔 외에도 가야 집모양 토기, 배모양 토기, 등잔모양 토기를 CT로 촬영했다.
/연합뉴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5∼6세기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슴모양뿔잔을 X선 컴퓨터단층촬영(CT) 장비로 살펴본 결과, 원통형 뿔잔·몸체 상부·몸체 하부·굽다리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함안군과 두류문화재연구원 요청으로 이뤄졌으며, 토기 길이는 머리에서 꼬리까지 약 20㎝다.
사슴 머리는 몸체 하부로 연결되고, 그 위에 상부를 따로 덮은 것으로 조사됐다.
표면은 매끄럽게 다듬었고, 기벽 내부에는 바탕흙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손으로 누른 흔적이 있었다.
아울러 머리와 목 부분은 흙으로 가득 채웠으나, 원통형 뿔잔과 이에 연결된 몸체 내부는 액체를 채울 공간이 있다는 점도 알아냈다.
박종서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관은 "사슴 형상 머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몸체 바닥 부분을 먼저 만든 뒤 원통형 뿔잔과 붙은 몸체 상부를 접합하고, 굽다리 받침을 연결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센터가 사용한 장비는 12∼20㎛까지 조사가 가능하며, 익산 쌍릉 대왕릉에서 나온 인골 조사에도 활용됐다.
센터는 사슴모양뿔잔 외에도 가야 집모양 토기, 배모양 토기, 등잔모양 토기를 CT로 촬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