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자료 대신 연평균 수치로만 제시…중국 측 공개 부담 느낀 듯
한중일 공동연구 보고서 첫 발간…"중국, 자국 측 요인 인정 의의"
韓미세먼지, 中영향 인정됐지만…고농도 시기 영향규명 숙제로
이번에 처음으로 발간된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 물질 국제 공동연구'(LTP) 보고서는 한국에서 발생한 미세먼지에 중국이 자국 요인도 있음을 인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국가별 미세먼지 기여도가 연평균으로 제시된 터라 연중 미세먼지 문제가 가장 심각해지는 시기에 중국이 어느 정도나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알 수 없다는 점은 한계로 남았다.

이 때문에 국내 미세먼지의 32%가 중국발이라는 연구 결과도 체감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도 읽힌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LTP 요약 보고서를 발표했다.

LTP 보고서는 한중일 3국이 대기오염 물질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2000년부터 추진한 연구 결과물로, 보고서가 발간돼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한국 3개 도시(서울, 대전, 부산)의 연평균 국내외 초미세먼지(PM-2.5)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비롯한 요인(자체 기여율)이 51%, 국외 요인이 49%로 나타났다.

국외 요인을 세부적으로 보면 중국발이 32%, 일본발이 2%였고 나머지는 북한, 몽골, 동남아시아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됐다.

3국 공동 연구에서 중국(베이징, 톈진, 상하이, 칭다오, 선양, 다롄)의 초미세먼지 가운데 중국 자체적으로 발생한 먼지는 91%에 달했고 한국발은 2%, 일본발은 1%에 불과했다.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의 경우 초미세먼지 55%는 일본, 25%는 중국, 8%는 한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韓미세먼지, 中영향 인정됐지만…고농도 시기 영향규명 숙제로
기여율은 3국 연구진이 각자 대기 질 모델을 통해 분석한 뒤 평균을 낸 값이다.

이날 브리핑에서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한국 미세먼지의 30% 이상이 중국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중국이 인정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연구 결과가 체감과는 다르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기여율이 연평균으로 제시됐기 때문이다.

1년 중 며칠 동안 중국발 미세먼지 기여율이 과거보다 확대되더라도 나머지 기간에 중국발 기여율이 쪼그라들면 일부 시기에는 평균값과 과도하게 차이가 나는 평균의 오류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미세먼지 기여도가 높아지는 시기, 낮아지는 시기에 따라 각국 기여도를 따로 볼 수 있도록 연평균이 아닌 월별 데이터를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월별 데이터 공개는 한중일이 합의한 내용이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그간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 결과를 보면 2018∼2019년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 국외 기여율은 28∼82%로 분석됐다.

그러나 올해로 좁혀보면 국외 기여율이 이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국외 기여율 중 상당 부분은 중국발 요인으로 추정된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1월 11∼15일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 국내 기여도는 18∼31%, 국외 기여율은 69∼82%로 분석됐다.

장 원장은 "과학원이 올해 2월 27일부터 3월 초까지 고농도 미세먼지 시기를 분석한 결과 국외 기여율이 80% 정도, 중국이 70%가량 되지 않았나 기억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발표를 앞두고 중국 측은 그간 외부로 발표한 적 없었던 연구 결과가 공개되는 데 부담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보고서는 지난해 공개되기로 했다가 중국 측 이견으로 발간이 1년 늦어지기도 했다.

장 원장은 "미흡하지만 우리 측에서도 강력히 주장하고 합의를 이끈 결과가 이 정도"라며 "기여율에 따른 한중 책임 공방은 연구 논의 과정에서 되도록 배제했으며, 국립환경과학원은 앞으로 관련 논의를 계속하고 환경부는 연구 결과를 정책에 참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