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사일 배치하지 마라" 中, 한일 양국에 경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사히신문은 19일 미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지난 8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 때 이런 입장을 밝혔다면서 INF 조약 실효 후에 미국의 대중(對中) 억제정책을 경계하는 중국이 한일 양국에 압력을 가한 모양새라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왕 국무위원은 강경화 외교장관과의 회담에서도 같은 취지의 입장을 전달했다.
강 장관은 왕 국무위원의 발언에 대해 "중국은 우선 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국 배치에 따른 보복 조치를 중단해야 한다"는 답변으로 대응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ADVERTISEMENT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은 지난 2월 냉전 시절인 1987년 옛 소련과 맺었던 INF조약에서 이탈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올 8월 이 조약은 효력을 잃었다.
미국이 이를 계기로 새로운 중거리 미사일의 개발과 배치를 추진하는 가운데 배치가 유력한 후보지로 동북아가 거론되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ADVERTISEMENT
이에 대해 슈라이버 차관보는 방중을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와 외무·방위성 간부들을 만난 자리에서 "중국 측의 흥미로운 반응이 있었다"며 중국 측 태도를 설명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미국은 그러나 한일 양국과 INF 문제에 대해선 `동맹국 간의 문제로, 중국이나 러시아와 협의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한다.
ADVERTISEMENT
아사히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일본에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이 배치될 가능성에 대해 "아직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았다는 것이 공식 답변이다. 미군의 (중거리) 미사일 실전 배치는 5년 후가 아닌가"라고 말했다.
일본 여당 내에서도 중거리 미사일 배치의 장단점에 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아사히는 미일 양국이 올 12월 외교·방위 당국 간부들이 참석하는 확장억제대화(EDD)를 할 예정이고, 같은 시기에 한미 간에도 EDD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며 "INF 문제는 단·중기적인 문제로 빨리 `머리 체조`를 시작해야 한다"는 미일 관계 소식통의 말을 전했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