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시험 대입 개편안과 무관하지만 수능 신뢰성 가늠자 될 듯
작년까지 3년 연속 '불수능'…배경지식 유무 따라 체감 난이도 다른 문제 반복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공교롭게도 대입제도 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치러진다.

정부가 수능 위주 정시모집을 확대하는 쪽으로 대입 개편 방향을 정했기 때문에 올해 수능 난이도에 관심이 집중된다.

14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달 말 정시 비중 확대를 포함한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방안은 일러도 2022학년도 대입에 적용될 전망이어서 올해 수능과 직접 상관은 없다.

하지만 정시확대가 공언된 만큼 수능이 '적정한 난이도로 변별력을 확보한 시험'인지 확인하고자 이목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매년 수능 때마다 "6월과 9월 두 차례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 교육과정을 기준 삼아 기존의 기조를 유지해 문제를 냈다"고 '출제 기조'를 밝혀왔다.

그러나 수능 난이도는 해마다 들쑥날쑥했고 논란이 반복됐다.

작년에는 국어영역이 매우 어려워 논란이었다.

시험이 어려울수록 표준점수 최고점이 오르는데, 지난해 국어영역은 150점으로 표준점수제가 도입된 2005학년도 이후 가장 높았다.

특히 국어영역 31번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이 문제는 만유인력을 설명한 지문을 읽고 옳은 보기를 고르는 형태로, 어렵기도 했지만, 배경지식이 있는 수험생은 보기만 읽고도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지적이 일었다.

일부 수험생·학부모는 국어영역 31번 문제를 비롯해 15개 문제가 고교교육과정 밖에서 출제됐다며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내기도 했다.

결국 평가원은 지난 3월 올해 수능 시행계획을 발표하면서 국어영역 31번 문제의 정답률 예측에 실패했다고 인정하고 초고난도 문제 출제는 지양하겠다고 밝혔다.

2018학년도와 2017학년도 수능도 '불수능'으로 분류된다.

2018학년도 국어영역에는 환율이나 상품가격이 단기에 급등락하는 '오버슈팅 현상'을 다룬 지문과 문제가 나왔는데 이 역시 배경지식 유무에 따라 체감난이도가 달라 논란이 됐다.

2011학년도, 2009학년도, 2002학년도 수능도 어려웠다.

특히 2002학년도 수능은 '불수능'이라는 단어를 탄생시킨 '원조'로 꼽힌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쉽게 출제한다는 정부의 약속을 믿었다가 충격받은 학부모와 학생을 생각하면 매우 유감스럽다"고 사과까지 했다.

반대로 2012학년도와 2001학년도 수능은 각각 만점자가 30명과 66명에 달하는 '물수능'으로 변별력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1학년도에는 특히 만점자 1명이 서울대 인문사회계열 특차모집에 떨어지면서 입방아에 올랐다.

정시가 확대하면 수능 난이도 조절과 함께 '출제오류'를 범하지 않는 것도 더 중요해진다.

그간 2004·2008·2010·2014·2015·2017학년도 수능에 출제오류가 있어 복수정답이 인정되거나 '정답 없음'으로 처리된 바 있다.

2017학년도에는 한국사와 물리Ⅱ 두 과목에 출제오류가 있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