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심해잠수사 50여명 투입…시신 인양·추가 실종자 수색 중
헬기 동체는 거꾸로 뒤집혀 프로펠러가 해저 면에 닿은 상태
"헬기 동체·꼬리 110m 떨어져…꼬리서 2구·동체서 1구 발견"(종합2보)
응급환자 이송 중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소방헬기는 동체와 꼬리가 완전히 절단된 채 110m가량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절단된 동체와 꼬리 쪽에서 발견된 실종자 추정 시신 3구는 해군 잠수사들이 포화 잠수로 인양 중이다.

그러나 오는 3일 울릉도·독도를 포함한 동해 중부 모든 해상 등에 대한 풍랑 예비특보가 발표되면서 독도 인근 해상에서 진행되는 추락 소방헬기 구조수색 작업에 차질이 예상돼 실종자 가족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 거꾸로 뒤집힌 동체…발견된 시신 상의 탈의한 상태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은 2일 오후 수색 진행 상황 브리핑을 통해 해군 청해진함에 탑재한 무인잠수정(ROV)과 해군 잠수사 등을 독도 해역 헬기 추락사고 현장에 투입, 헬기 동체 반경 300m 지점을 수색했다고 밝혔다.

탐색 결과 헬기 동체는 거꾸로 뒤집어져 프로펠러가 해저면에 닿아 있는 상태였고, 헬기 꼬리는 동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돼 110m 떨어진 곳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헬기 동체·꼬리 110m 떨어져…꼬리서 2구·동체서 1구 발견"(종합2보)
실종자는 무인잠수정을 통해 외부에서 제한적으로 확인한 결과 동체 내부에서 1구, 꼬리 부분 인근에서 2구 등 시신 3구를 발견했다.

꼬리 쪽에서 발견된 시신 2구의 위치는 동체로부터 90m와 150m에 있었다고 해경은 밝혔다.

이날 오전 9시 24분께 헬기 동체로부터 9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시신 1구는 상의가 벗겨진 상태였고, 하의는 검은색 긴바지를 착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오전 10시 8분께 헬기 동체에서 15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추가 시신 1구도 상의는 탈의한 채 검은색 반바지를 착용했는데 전날 발견된 실종자로 추정된다고 해경은 밝혔다.

동체 내 시신 1구는 이날 낮 12시 28분께 헬기 동체 탐색 중 발견됐으며 헬기 구조물에 가려 발 부분만 확인했다.

이날 수색 당국이 해저에서 촬영한 기체의 동영상을 보면 동체가 거꾸로 뒤집힌 채 해저 펄에 프로펠러가 닿아 있고, 앞문이 부서지지 않은 채 열려 있는 모습이 보인다.

한 헬기 조종사는 "문이 수압에 부서지기보다는 열려 있는 것처럼 보이고 상의를 벗었다는 점에서 탑승자들이 탈출을 시도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헬기 동체·꼬리 110m 떨어져…꼬리서 2구·동체서 1구 발견"(종합2보)
◇ 해군 심해잠수사 50여 명 투입…시신 수습한 뒤 지문 등으로 신원 확인
이날 수중 집중 수색에는 해군 해난구조대(SSU) 소속 심해잠수사 50여 명이 투입됐다.

이들은 시신 수습 및 실종자 확인을 위해 오후 3시 14분부터 포화 잠수를 진행 중이다.

심해잠수사들은 사고 헬기의 동체와 동일한 수심에 내려진 감압챔버에서 휴식하면서 수중 수색 및 시신 인양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색 당국은 시신을 수습한 뒤 지문 및 가족 확인을 통해 최종적으로 신원을 확인할 방침이다.

또 헬기 동체에 대한 정밀 수색을 벌인 뒤 동체 쪽에서 발견된 시신을 먼저 인양할지, 동체와 함께 인양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헬기가 추락한 해저 바닥의 수심은 해경 잠수사가 동체 인근에서 실측한 결과 78m로 확인됐다.

전날 어군탐지기로 측정 당시의 헬기 추락지점의 수심은 72m였다.

다만 측정 위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해경은 밝혔다.

해상 수색은 독도 남쪽 직경 약 37㎞를 10개 수색 구역으로 나눠 해경 함정 5천, 해군 함정 5척 등 18척의 함정과 7대의 항공기를 투입해 진행 중이다.

"헬기 동체·꼬리 110m 떨어져…꼬리서 2구·동체서 1구 발견"(종합2보)
◇ "빨리 찾아주세요"…기상 악화 소식에 애타는 실종자 가족들
독도 헬기 추락사고 실종자 가족들은 오는 3일 예보된 독도 인근 해상의 기상 악화 소식에 구조수색 작업 차질을 우려하며 애만 태우고 있다.

이날 오후 동해해경청을 찾은 실종자 가족들은 "포항에 있다가 보니 아무것도 듣는 게 없어서 수색작업을 진행하는 해경에 오면 무슨 이야기라도 들을 수 있을까 해서 왔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은 기상여건이 안 좋다고 하는데…, 최대한 집중시켜서 오늘 큰 효과를 볼 수 있게 부탁하려고 왔다"며 "그러나 피해자 입장에서는 맘에 안 들고 (성에) 안 찬다"고 답답해했다.

한 실종자 가족은 "소방의 힘이 너무 힘이 부족하다"며 "대통령의 딸이 물에 빠져도 이랬겠냐"고 해경 직원들에게 항의했다.

기상청은 오는 3일을 기해 울릉도·독도를 포함한 동해 중부 전 해상 등에 대한 풍랑 예비특보를 발표, 독도 인근 해상에서 진행되고 있는 추락 소방헬기 구조수색 작업에 차질이 예상된다.

해경 관계자는 "내일부터는 기상 여건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가급적이면 이날 중 동체를 인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헬기 동체·꼬리 110m 떨어져…꼬리서 2구·동체서 1구 발견"(종합2보)
◇ 소방 "비상부주장치 미작동 등 기체 결함 여부, 조사결과 지켜봐야"
사고 당시 헬기의 비상부주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체 결함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성호선 중앙119구조본부 영남119특수구조대장은 "비상부주장치가 작동돼서 인명 구조된 과거 사례가 있었는데, 당시 1시간 54분 정도 기체가 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상부주장치의 미작동이 기계 결함으로 봐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는 "국토부 항공철도조사위에서 조사 결과가 나와야 알 수 있다"며 사고원인을 예단하기 어렵다는 점을 피력했다.

사고 헬기에는 기장과 부기장, 정비사 1명, 항공구급사 1명, 항공구조사 1명 등 소방공무원 5명과 손가락 절단 환자, 환자의 동료 선원 등 7명이 탑승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