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美무기 편중 현상 극심, 국내 연구개발·도입국 다변화해야"
최근 13년간 해외무기 구입액 45조7천억…미국산 78% 차지
최근 13년간 해외 무기 구입액 중 약 80%가 미국산 무기를 사들이는 데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의원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받은 '연도별 무기 구매현황' 자료에 따르면 방사청은 2006년부터 2018년까지 해외 무기 구매에 45조7천886억원을 지출했다.

이 중 미국산 무기 도입 비용은 35조8천345억원(FMS 24조7천777억원·상업 구매 11조568억원)으로 전체 무기구입 비용의 78%를 차지했다.

FMS는 정부 간 직거래 계약 제도를 말한다.

미국에 이어 독일 4조1천291억원, 영국 1조3천825억원, 이스라엘 1조2천744억원 순으로 한국의 해외 무기 구입액이 많았다.

이 기간 계약한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은 F-35를 도입하는 차세대 전투기(F-X) 사업으로 모두 7조1천546억원이 투입됐다.

KF-16 성능개량사업(2조1천956억원), F-15K 2차 항공기구매사업(2조645억원)에는 2조원 이상이 들어갔다.

홍 의원은 "한미동맹에 따라 기존 전술·전략자산과의 호환성 등으로 미국 무기 편중 현상이 극심해지고 있다"며 "전투기 등 항공자산에 대한 국내 연구개발 역량을 갖추고 무기 도입 국가를 다변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13년간 해외무기 구입액 45조7천억…미국산 78% 차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