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고려대 연구진 성과…예측 정확도 83.6%

국내 연구진이 경도 인지장애 환자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예측에 쓸 수 있는 바이오마커 4종을 발견했다.

ADVERTISEMENT

다만 이 마커를 이용한 예측의 정확도는 실제 진단에는 활용하기 어려운 80%대에 그쳐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 고려대 공동 연구진이 이런 연구성과를 30일 뇌과학 학술지 '프로그레스 인 뉴로바이올로지'(Progress in Neurobiology)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기억력에 이상이 생긴 경도 인지장애 환자의 절반 정도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VERTISEMENT

치매는 근본적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진행을 억제할 수 있어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 발병 여부를 미리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진은 비교적 간단한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가능성을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키로 하고, 혈액 속 '바이오마커'를 탐색했다.

치매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뇌세포가 손상돼 증상이 악화한다고 알려졌다.

ADVERTISEMENT

연구진은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량에 따라 양이 달라지는 혈액 속 단백질 4종(LGALS3BP, ACE, Periostin, CDH5)을 발견했다.

또 이들을 바이오마커로 쓸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한 진단 패널을 제작했다.

경도 인지장애 환자 107명을 대상으로 이 패널의 성능을 확인한 결과,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쌓인 사람을 83.6%의 정확도로 예측했다.

ADVERTISEMENT

현재 경도 인지장애 환자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여부를 알기 위해선 고가의 아밀로이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을 이용해 왔는데, 혈액 검사로도 판단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을 찾은 셈이다.

연구를 진행한 묵인희 서울대 교수는 "기술 보완을 통해 예측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계획을 밝혔다.

또 "연구 결과가 실용화되면 간단한 혈액검사로 경도 인지장애 환자의 치매 진행 여부를 예측할 수 있게 돼, 조기 치료를 통한 치매 예방 및 진행억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도 인지장애 환자 치매 가능성 예측 '바이오마커' 발견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