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연장근로를 허용한 기업이 6곳, 사업장 기준으로 10개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예상과 달리 적은 숫자에 불과한 것은 허가 과정이 지나치게 엄격하고 소재와 부품 국산화가 쉽지 않다는 것은 반증한다는 평가입니다.

여기에 근로시간 연장에 대해 노조가 반대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보도에 박준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8월 13일 정부는 한 반도체 소재기업에 주 52시간 예외를 허용하는 첫 특별연장근로를 인가했습니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소재 국산화가 시급해 근로시간을 늘릴 수 밖에 없다는 판단입니다

한달이 지난 현재 이 같은 이유로 특별연장을 신청한 기업은 7곳. 이중 6곳의 기업이 최종 인가를 받았습니다. 사업장 기준으로는 10개 입니다.

예상과 달리 기업수가 적은 것은 아직은 7월 직접적인 수출 규제를 받는 에칭가스 등의 3개 품목 관련 업체만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 에서 공식적으로 제외한 상황이지만 수출 규제처럼 구체적인 후속 조치가 확정되지 않아 해당 기업이 많지 않다는 판단입니다.

[전화인터뷰] 정부 관계자

"3개 품목에 관련 업체수는 그렇게 많지 않다. 백색국가 제외되면서 해당되는 품목은 아마 그것보다는 많은 텐데"

일부 기업의 경우 연장근로를 둘러싼 노사협의 과정이 순탄치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제품 국산화와 연구 개발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연장근로에 따른 조건과 지원에 대해서는 이견이 적지 않다는 것입니다.

[전화인터뷰] 정부 관계자

"회사가 맘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들과 협의를 해야 한다. 현재 논의를 하고 있는 기업들도 있고 준비하고 있는 곳도 있어서 이 숫자를 갖고 많다 적다 말하기 어렵다"

우리 정부도 일본을 백색 국가에서 제외시키는 등 맞불 작전에 나섰지만 연구 개발과 생산을 담당하는 현장의 혼란은 여전합니다.

한국경제TV 박준식입니다.

박준식기자 parkjs@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