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쌍탄핵’ 카드와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법 등을 검토하던 더불어민주당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지정하자 한발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일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 최고위원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한 권한대행 탄핵 추진 여부와 관련해 “선고기일이 나온 만큼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당초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시한을 이날로 제시하면서 한 권한대행이 임명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중대 결심’을 하겠다고 경고했다.이를 두고 야당이 한 권한대행과 최 부총리 동시 탄핵을 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헌재가 이날 선고기일을 지정한 만큼 정치적 부담이 큰 한 권한대행 탄핵은 무리하게 추진하지 않을 가능성이 나온다. 조 수석대변인은 “중대 결심을 하겠다고 했지 구체적으로 탄핵을 거론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다만 민주당은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 부총리 탄핵소추안은 예정대로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탄핵소추안은 국회에 보고된 뒤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무기명 투표로 본회의에서 표결해야 한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잡힌 만큼 최 부총리 탄핵소추안은 보고만 한 뒤 실제 표결까지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최형창 기자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한다고 외교부가 1일 밝혔다. 지난 2월 독일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첫 3자 회의를 한 뒤 두 달여 만이다.조 장관은 3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외 나토 동맹국과 유럽연합(EU) 우크라이나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이 참여한다. 올해 NATO 외교장관회의는 동맹국 간 방위산업 협력, 안보 연계 등이 주요 의제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세계적으로 불만이 커지는 상황에서 루비오 장관은 NATO 동맹국이 국방 투자를 늘리도록 촉구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외교부는 3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도 열릴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북핵 문제, 지역 정세, 경제 협력 방안 등이 3국 장관회의에서 논의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교가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인 만큼 이와 관련한 우리 정부 입장을 미국 측에 전달할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다만 한·미 및 한·일 외교장관 양자회담이 열릴지는 미지수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조 장관과 루비오 장관이 자연스럽게 조우하는 계기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배성수 기자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안보 전략 태스크포스(TF)’를 1일 출범시켰다. 부총리 주재 대외경제현안 간담회를 총리 주재 회의체로 격상했다. 기존에는 정부 인사 중심의 회의체였는데 TF로 전환하면서 민간 인사도 함께 참여하도록 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가 참석했다.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첫 회의를 주재하며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를 거론한 뒤 “어려움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은 자동차산업을 포함해 각 산업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 조치를 긴급하게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상호관세가 발표되면 우리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것”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기업들이 걱정하는 부분을) 조금이라도 보완하고 강화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으자는 제안도 했다. 한 권한대행은 “미국의 관세정책 때문에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공급망)에 엄청난 충격과 도전이 다가오고 있는데, 이제 우리 정부와 기업이 같이 손을 잡고 한마음으로 뛰어야 할 때”라며 “기업과 함께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민관 네트워크를 총결집해 전방위적인 아웃리치(정보 제공 활동)를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주요 국가와 대한민국 간 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쪽으로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한 권한대행은 국내 불합리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총리실 안팎에서는 미국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