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새 안보보좌관 오브라이언, 트럼프와 사사건건 충돌한 볼턴과 대비
막후조율·트럼프 외교정책 힘싣기 주력할듯…독주 가속·'균형과 견제' 약화 우려도
이란 핵합의 등 오바마 정책 비판 강경성향…對이란 대응 첫 시험대
볼턴 리스크 털고 '매파 예스맨'…트럼프 대북 관여정책 탄력?(종합2보)
미국 백악관의 신임 국가안보보좌관에 국무부 인질문제 담당 대통령 특사인 로버트 오브라이언이 18일(현지시간) 전격 발탁됨에 따라 향후 대북 등 한반도 분야를 비롯한 미국의 외교·안보 정책의 방향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주목된다.

북미 간 비핵화 실무협상이 이달 말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연내 3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한반도 정세가 다시금 중대 분수령을 맞은 상황에서다.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등 '뇌관'이 산적한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석유 시설 피습으로 다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이란 문제 대응이 당장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브라이언 카드' 선택에는 주요 현안마다 강한 목소리를 내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동'을 걸거나 다른 부처와 잦은 마찰을 벌였던 볼턴 전 보좌관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새로운 국가안보보좌관에게서는 유관부처 간 막후 조율 및 대통령의 외교·안보 보좌라는 역할을 원한다는 뜻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주요 현안 추진에 있어 초강경 노선을 견지, 정면충돌도 불사하며 '걸림돌'로 작용했던 '볼턴 리스크'를 걷어내고 대선 국면에서 트럼프 표 외교정책 추진에 탄력도를 붙이겠다는 포석인 셈이다.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은 과거 저서 등에서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의 외교정책을 '유화와 후퇴'로 규정, 정면 비판하는 등 성향상으로는 '매파'로 분류된다고 미언론들이 보도했다.

그는 이날 첫 일성으로 '힘을 통한 평화'를 강조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조지 W.부시 행정부 시절인 2005년 볼턴 당시 유엔대사와 함께 제60차 유엔총회에서 미국 대표로 활동한 경력도 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통신의 칼럼니스트 엘리 레이크는 칼럼에서 "트럼프는 이란, 아프가니스탄, 북한에 관해 볼턴과 이견을 보였는데, 그의 새 국가안보보좌관도 그 모든 현안에 대해 전통적인 공화당 매파 성향을 보인 오랜 역사가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도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이 볼턴 전 보좌관과 어느 정도 차별성을 보일지는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 및 다른 부처 고위당국자들과 사사건건 부딪쳤던 볼턴 전 보좌관에 비해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온건한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성향상 '매파'임에도 불구, 트럼프 대통령의 '충실한 대리인' 역할을 해온 것처럼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 각을 세우기보다는 '로우키'로 '코드'를 맞추며 부처 간 '조정역'에 주력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는 협상 전문가이자 중재 전문 변호사의 이력도 갖고 있다.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의 대북관에 대해서는 그동안 외부적으로 알려진 바가 별로 없다.

인질 특사로서 전 세계에 걸쳐 미국인 인질 구출 작전을 주도해온 만큼,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지난해 5월 이뤄진 한국계 미국인 3명의 본국 송환 과정에 그가 물밑에서 관여했을 가능성이 거론되는 정도이다.

하지만 북한 문제에서도 개인적 매파 성향을 드러내기보다는 폼페이오 장관과 보조를 맞추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뒷받침하지 않겠느냐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 합류를 계기로 행정부 내 '브레이크' 없이 대북 정책을 비롯, 외교 안보 분야에서 자신의 스타일을 더욱 거침없이 밀어붙이지 않겠느냐는 시선인 셈이다.

특히 대선 국면에서 내세울 외교 치적이 절실한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북한과 이란 등과 관련한 '가시적 업적'을 만들어내기 위해 보다 과감한 관여 드라이브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와 맞물려 미 조야 일각에서는 외교·안보 정책 의사 결정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독주'가 가속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시선도 없지 않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실질적 영향력과 위상이 약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오바마 행정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 재직했던 조너선 스티븐슨 국제전략연구소(IISS) 선임연구원은 NYT 논평 기사를 통해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이 볼턴 전임자와 시각은 유사하나 성향은 매우 대조적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군림하는 기질에 적합한 순응하는 막후 실무타입'을 발탁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최악의 외교정책 본능을 견제할 누군가가 필요한 시기에 예스맨이 들어섰다면서 이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적 충동을 견제할 희망이 모두 사라진 셈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WP)는 국가안보팀이 대선 국면을 맞아 '극적인 사건'을 겪고 싶어하지 않는 상황에서 오브라이언 인선은 '가장 안전한 선택'으로 간주한다고 한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실제 오브라이언 신임 보좌관도 이날 캘리포니아를 방문 중인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취재진 앞에 선 자리에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 엄청난 외교정책의 성공을 거둬왔다.

나는 그것이 계속되길 기대한다"며 트럼프 대통령표 외교정책에 힘을 실었다.

'힘을 통한 평화'를 역설하며 "미국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군대를 재건하기 위해 대통령과 함께 협력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인식과 오버랩되는 대목이다.

볼턴 리스크 털고 '매파 예스맨'…트럼프 대북 관여정책 탄력?(종합2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