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3차 북미정상회담 주목…장소는 평양? 워싱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트럼프, 연내 성사 가능성 언급…김정은의 '평양 초청' 친서說도
'하노이 노딜' 재연은 양측 모두에 '악몽'…실무협상이 '열쇠' 북한과 미국이 실무협상을 거쳐 연내 제3차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어디서 열릴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어느 시점에 김정은과 만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어느 시점엔가 그렇다"며 "나는 그것이 일어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여기에 더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하는 친서를 보냈다는 국내 언론 보도도 16일 나왔다.
북한이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의 지난 9일 자 담화를 통해 '9월 하순 북미대화 의향'을 표명하면서 북미 실무협상 재개가 가시권에 들어왔지만 6·12 북미정상 공동성명을 구체적 실천 조치로 옮기는 합의문은 결국 양국 정상이 서명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이와 관련, 북한의 입장을 대변해온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12일 앞으로 열릴 북미 실무협상이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 3차 정상회담의 합의문을 조율하는 과정이라고 썼다.
또 김정은 위원장이 '연말'을 북미 담판의 '시한'으로 천명했다는 점에서 북한은 3차 북미정상회담의 '연내 개최'를 목표로 실무협상에 임할 전망이다.
다만 정상회담 개최를 결정한 상황에서 실무협상을 진행한 2차 북미정상회담 때와는 양상이 다를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실무협상 단계에서 핵심 의제인 비핵화와 관련해 입장 절충을 못한 상황에서 정상간의 담판으로 넘겼다가 결국 결렬로 끝난 2차 북미정상회담의 전철을 밟는 것은 양 정상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될 것이란 지적이다.
즉, 비핵화 로드맵, 대북 안전보장, 제재 해제 등 핵심 현안에서 어느 정도 상호 수용가능한 합의를 실무협상때 만들어야 3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발표가 가능하리라는 얘기다.
1, 2차 북미정상회담 때의 실무협상에 비해 이번 실무협상의 무게감이 훨씬 커진 상황에서 미국은 실무회담에서 '합의문 초안'을 완성한 뒤 정상회담을 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은 최종 합의를 두 정상의 정치적 결단에 맡기길 원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실무협상에서 정리가 되면 3차 북미정상회담으로 가는 것은 예상되는 수순"이라며 "다만 정상회담은 양 정상이 만나서 사인할 정도의 사전 합의가 전제되어야 가능할 것이며, 양 정상의 결단에 맡기는 식으로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제3국에서 열렸던 1, 2차 때와 달리 양국 수도 중 한 곳에서 열릴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이에 대해서는 양측 정상 모두 운을 뗀 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30일 김 위원장과의 판문점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위원장을 미국으로 초청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는 "곧바로 백악관으로 초청하려고 한다"고 답했다.
김 위원장도 6·30 판문점 회동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적절한 시기"에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하게 된다면 "영광일 것"이라고 말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양국 수도 중 한 곳에서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북미관계 정상화 측면에서 큰 상징성을 갖게 될 것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그리고 내년 11월 재선 여부가 걸린 대선을 치러야 할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세계 최강대국이자 '70년 적대국'인 미국 정상의 평양 방문이 갖는 정치적 함의를 의식할 김 위원장도 양국 수도 중 한 곳이라면 가급적 '홈그라운드'를 선호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북미정상회담이 두 나라 수도 중 한 곳에서 열린다면 김정은 위원장의 이동수단, 워싱턴 내 북한 공관의 부재 등으로 미뤄 워싱턴에서 열릴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며 "만약 실무협상이 잘 되어서 합의안이 나온다면 평양 개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클 것 같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북한으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불러서 원하는 합의가 나오면 최선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미국 정상을 평양에 불러들일 수 있다면 그 자체로 (북미협상이 연내에 타결되지 않을 경우 가겠다고 밝힌)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있는 명분이 된다"고 말했다.
고유환 교수는 "김 위원장으로선 트럼프 대통령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거기서 이른바 '군사적 위협해소'와 체제안전 보장 관련 합의가 이뤄진다면 그것을 기존 정책을 전환할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양측 수도에서의 정상회담은 정치적 리스크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의전과 경호 문제가 클 수 있어 북미관계의 현 수준에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
'하노이 노딜' 재연은 양측 모두에 '악몽'…실무협상이 '열쇠' 북한과 미국이 실무협상을 거쳐 연내 제3차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어디서 열릴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어느 시점에 김정은과 만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어느 시점엔가 그렇다"며 "나는 그것이 일어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여기에 더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하는 친서를 보냈다는 국내 언론 보도도 16일 나왔다.
북한이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의 지난 9일 자 담화를 통해 '9월 하순 북미대화 의향'을 표명하면서 북미 실무협상 재개가 가시권에 들어왔지만 6·12 북미정상 공동성명을 구체적 실천 조치로 옮기는 합의문은 결국 양국 정상이 서명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이와 관련, 북한의 입장을 대변해온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12일 앞으로 열릴 북미 실무협상이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 3차 정상회담의 합의문을 조율하는 과정이라고 썼다.
또 김정은 위원장이 '연말'을 북미 담판의 '시한'으로 천명했다는 점에서 북한은 3차 북미정상회담의 '연내 개최'를 목표로 실무협상에 임할 전망이다.
다만 정상회담 개최를 결정한 상황에서 실무협상을 진행한 2차 북미정상회담 때와는 양상이 다를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실무협상 단계에서 핵심 의제인 비핵화와 관련해 입장 절충을 못한 상황에서 정상간의 담판으로 넘겼다가 결국 결렬로 끝난 2차 북미정상회담의 전철을 밟는 것은 양 정상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될 것이란 지적이다.
즉, 비핵화 로드맵, 대북 안전보장, 제재 해제 등 핵심 현안에서 어느 정도 상호 수용가능한 합의를 실무협상때 만들어야 3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발표가 가능하리라는 얘기다.
1, 2차 북미정상회담 때의 실무협상에 비해 이번 실무협상의 무게감이 훨씬 커진 상황에서 미국은 실무회담에서 '합의문 초안'을 완성한 뒤 정상회담을 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은 최종 합의를 두 정상의 정치적 결단에 맡기길 원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실무협상에서 정리가 되면 3차 북미정상회담으로 가는 것은 예상되는 수순"이라며 "다만 정상회담은 양 정상이 만나서 사인할 정도의 사전 합의가 전제되어야 가능할 것이며, 양 정상의 결단에 맡기는 식으로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제3국에서 열렸던 1, 2차 때와 달리 양국 수도 중 한 곳에서 열릴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이에 대해서는 양측 정상 모두 운을 뗀 적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30일 김 위원장과의 판문점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 위원장을 미국으로 초청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는 "곧바로 백악관으로 초청하려고 한다"고 답했다.
김 위원장도 6·30 판문점 회동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적절한 시기"에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청하게 된다면 "영광일 것"이라고 말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양국 수도 중 한 곳에서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북미관계 정상화 측면에서 큰 상징성을 갖게 될 것으로 외교가는 보고 있다.
그리고 내년 11월 재선 여부가 걸린 대선을 치러야 할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세계 최강대국이자 '70년 적대국'인 미국 정상의 평양 방문이 갖는 정치적 함의를 의식할 김 위원장도 양국 수도 중 한 곳이라면 가급적 '홈그라운드'를 선호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북미정상회담이 두 나라 수도 중 한 곳에서 열린다면 김정은 위원장의 이동수단, 워싱턴 내 북한 공관의 부재 등으로 미뤄 워싱턴에서 열릴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며 "만약 실무협상이 잘 되어서 합의안이 나온다면 평양 개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클 것 같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북한으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평양으로 불러서 원하는 합의가 나오면 최선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미국 정상을 평양에 불러들일 수 있다면 그 자체로 (북미협상이 연내에 타결되지 않을 경우 가겠다고 밝힌)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있는 명분이 된다"고 말했다.
고유환 교수는 "김 위원장으로선 트럼프 대통령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거기서 이른바 '군사적 위협해소'와 체제안전 보장 관련 합의가 이뤄진다면 그것을 기존 정책을 전환할 수 있는 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양측 수도에서의 정상회담은 정치적 리스크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의전과 경호 문제가 클 수 있어 북미관계의 현 수준에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