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리커창 중국 총리. 연합뉴스
리커창 중국 총리가 "중국 경제는 6% 이상의 중고속 성장률을 유지하기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커창 총리는 16일 중국 정부 웹사이트에 올라온 러시아 언론과의 문답에서 "현재 국제 형세가 복잡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 경제는 글로벌 성장 둔화를 비롯해 보호주의와 일방주의의 부상으로 "어느 정도의 하방 압력"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리커창 총리는 다만 중국의 발전 속도는 여전히 세계 주요 경제권을 리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해 8월까지는 중국 경제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2분기 경제 성장률은 20여년 만에 가장 낮은 6.2%에 그쳤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 목표치를 지난해의 6.5%가량보다 낮은 6.0∼6.5%로 낮춰 잡았다.

중국은 미·중 무역전쟁 등의 여파로 경기가 둔화하자 이날 올해 3번째로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경기 부양에 힘을 쏟고 있다. 리 총리는 "중국 경제 발전은 큰 잠재력과 선회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세계의 공장'인 동시에 '세계의 시장'으로 불린다"면서 "국내 수요가 중국 경제를 외부 충격에서 막아준다"고 설명했다. 끊임없는 개혁·개방 심화는 경제 활력을 더욱 북돋울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다.

리커창 총리는 "거시적 통제 수단과 능력이 충분해 안정적인 발전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무차별적 돈 풀기에 의존하지 않고 위험에 대비한 정책 공간을 남겨뒀다"며 "현재의 경제 상황 변화를 맞아 거시정책의 연속 선상에서 역주기 조절과 함께 대규모 감세와 특수목적채권 사용 증가, 자금 조달 비용 낮추기 등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커창 총리는 "중국 정부는 각종 위험과 도전을 극복하고 경제의 안정적 발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자신과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국제정세의 불안정과 불확실성이 심해지며 다자주의와 자유무역이 새로운 겹겹의 도전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16∼18일 러시아를 방문하는 리 총리는 러시아와 중국이 수교 70주년을 맞은 것을 언급하면서 신시대의 전면적인 전략 파트너 관계가 새로운 성과를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커창 총리는 "국의 '일대일로' 사업을 러시아의 유라시아경제공동체와 잘 결합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