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평양과 한반도 평화통일사업 확대·강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회서 '동서 베를린 경험으로 본 지방정부의 남북협력 방안' 포럼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과 평양의 지방자치단체 간 교류를 확대해 통일을 준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시장은 2일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기획포럼: 동서 베를린 경험으로 본 지방정부의 남북협력 방안 모색'에 참석해 축사하면서 이런 지론을 밝혔다.
박 시장은 "그간 지자체는 남북한 교류 협력의 독자적인 주체로 인정받지 못했는데 지난 7월 통일부와 시도지사협의회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주체적으로 교류와 협력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각 지자체가 특성에 맞는 남북협력사업 발굴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계실 것"이라며 "서울시는 3대 분야 10대 사업으로 구성된 '서울-평양 도시 간 협력'을 추진하려고 노력했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통일교육지원법'과 '서울시 평화·통일 교육에 관한 조례'에 근거한 '평화·통일 교육 기본계획'을 세워 한반도 평화·통일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강화해왔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서울은 더욱 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을 모색하고 이를 구현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당사자인 시민이 모여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는 것 역시 평화 실현을 위한 행위"라고 평가했다.
이날 포럼에서 베를린자유대학 이은정 교수는 '동서 베를린 경험으로 본 지방정부의 남북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 교수는 "동서독 교류사를 보면 교통과 통신의 교류가 시작된 이후 모든 교류 협력의 기본적 토대가 됐다"며 "기술적 교류 협력을 이념적, 정치적 문제로 보지 않고 실무적인 문제라는 성격을 분명히 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의 경우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이산가족 상봉, 철도 연결 등의 과제가 있다"며 "대동강 수질, 교통 시스템, 쓰레기 처리, 상하수도 문제 등에서 서울과 평양 간 협력 사업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아가 "공중파가 아니라도 서울의 방송 채널에 북한 방송을 과감하게 개방하는 것을 중앙정부와 의논할 필요가 있다"며 "서울의 대학들이 평양의 대학들과 학술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포럼을 주최한 서울연구원 서왕진 원장은 "독일에서 동서 베를린은 동독과 서독 교류의 플랫폼을 제공했고 독일 통일을 실현하는 가교 구실을 했다"며 "지방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독일 사례가 보여준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서울의 역할을 보다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한다"며 "서울 등 지방정부 차원에서 모색할 수 있는 교류 프로그램과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박 시장은 2일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기획포럼: 동서 베를린 경험으로 본 지방정부의 남북협력 방안 모색'에 참석해 축사하면서 이런 지론을 밝혔다.
박 시장은 "그간 지자체는 남북한 교류 협력의 독자적인 주체로 인정받지 못했는데 지난 7월 통일부와 시도지사협의회가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주체적으로 교류와 협력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각 지자체가 특성에 맞는 남북협력사업 발굴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계실 것"이라며 "서울시는 3대 분야 10대 사업으로 구성된 '서울-평양 도시 간 협력'을 추진하려고 노력했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통일교육지원법'과 '서울시 평화·통일 교육에 관한 조례'에 근거한 '평화·통일 교육 기본계획'을 세워 한반도 평화·통일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강화해왔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서울은 더욱 적극적으로 지속 가능한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을 모색하고 이를 구현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당사자인 시민이 모여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는 것 역시 평화 실현을 위한 행위"라고 평가했다.
이날 포럼에서 베를린자유대학 이은정 교수는 '동서 베를린 경험으로 본 지방정부의 남북협력 방안'을 주제로 발제했다.
이 교수는 "동서독 교류사를 보면 교통과 통신의 교류가 시작된 이후 모든 교류 협력의 기본적 토대가 됐다"며 "기술적 교류 협력을 이념적, 정치적 문제로 보지 않고 실무적인 문제라는 성격을 분명히 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우리의 경우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이산가족 상봉, 철도 연결 등의 과제가 있다"며 "대동강 수질, 교통 시스템, 쓰레기 처리, 상하수도 문제 등에서 서울과 평양 간 협력 사업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아가 "공중파가 아니라도 서울의 방송 채널에 북한 방송을 과감하게 개방하는 것을 중앙정부와 의논할 필요가 있다"며 "서울의 대학들이 평양의 대학들과 학술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포럼을 주최한 서울연구원 서왕진 원장은 "독일에서 동서 베를린은 동독과 서독 교류의 플랫폼을 제공했고 독일 통일을 실현하는 가교 구실을 했다"며 "지방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을 독일 사례가 보여준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서울의 역할을 보다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한다"며 "서울 등 지방정부 차원에서 모색할 수 있는 교류 프로그램과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