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넘어 '동해영토' 수호 의지…주변국 '영공침범' 동시견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해 영토수호훈련' 명칭 첫 사용…이례적 전력투입 배경 주목
군이 25일 시작된 독도방어훈련 명칭을 '동해 영토수호훈련'으로 변경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986년부터 상, 하반기로 나뉘어 매년 두 차례씩 실시돼온 독도방어훈련에 대해 이 명칭을 사용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기 때문이다.
해군은 이에 대해 "독도를 비롯한 동해 영토 수호 의지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훈련 범위에는 독도뿐 아니라 울릉도 지역 등이 포함됐다.
군 관계자는 "동해 명칭을 사용한 것은 우리 영토의 수호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며 "동원된 전력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오히려 '독도훈련'보다 더욱 확장된 개념으로 해석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에 투입된 전력은 예년의 두 배 수준이다.
사상 처음으로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7천600t급)을 포함해 해군의 최정예 제7기동전단 전력과 육군 특전사 등이 참가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훈련 명칭에서 '독도'라는 표현이 빠진 데 대해, 일본과의 불필요한 외교적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했다.
그러나 오히려 독도 영유권 수호에 대한 더욱 강력한 메시지가 담겼다는 것이 군 당국의 설명이다.
군이 올해 독도방어훈련을 이처럼 이례적인 명칭과 규모로 실시하게 된 배경에는 우선 일본의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경제전쟁'으로 까지 치닫고 있는 상황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다.
정부는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지난 6월 실시하려던 독도방어훈련을 지속해서 미뤄왔고 훈련 시점과 규모에 대해서도 줄곧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고수하자, 정부는 결국 지난 22일 한일 간의 유일한 군사 분야 협정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선언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번 독도방어훈련은 지소미아 종료 선언 사흘 만에, 그리고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 시점을 사흘 남겨두고 실시된 것이다. 군사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잇따르고 있는 중국, 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무단진입, 특히 지난달 발생한 러시아 군용기의 사상 첫 독도 영공침범 사건 역시 이례적인 독도방어훈련의 배경이 됐을 거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러시아는 자국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 사건을 설명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중국 공군과 장거리 연합 초계비행을 한 것이라 밝혀 독도 영공 침범 사건이 재발한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이에 대해 군 안팎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단호한 메시지를 발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해군 관계자는 이런 '동해 영토수호훈련'에는 "모든 역량을 다 투입해 우리 영토를 수호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986년부터 상, 하반기로 나뉘어 매년 두 차례씩 실시돼온 독도방어훈련에 대해 이 명칭을 사용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기 때문이다.
해군은 이에 대해 "독도를 비롯한 동해 영토 수호 의지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훈련 범위에는 독도뿐 아니라 울릉도 지역 등이 포함됐다.
군 관계자는 "동해 명칭을 사용한 것은 우리 영토의 수호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며 "동원된 전력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오히려 '독도훈련'보다 더욱 확장된 개념으로 해석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에 투입된 전력은 예년의 두 배 수준이다.
사상 처음으로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7천600t급)을 포함해 해군의 최정예 제7기동전단 전력과 육군 특전사 등이 참가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훈련 명칭에서 '독도'라는 표현이 빠진 데 대해, 일본과의 불필요한 외교적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했다.
그러나 오히려 독도 영유권 수호에 대한 더욱 강력한 메시지가 담겼다는 것이 군 당국의 설명이다.
군이 올해 독도방어훈련을 이처럼 이례적인 명칭과 규모로 실시하게 된 배경에는 우선 일본의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경제전쟁'으로 까지 치닫고 있는 상황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다.
정부는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지난 6월 실시하려던 독도방어훈련을 지속해서 미뤄왔고 훈련 시점과 규모에 대해서도 줄곧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고수하자, 정부는 결국 지난 22일 한일 간의 유일한 군사 분야 협정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선언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번 독도방어훈련은 지소미아 종료 선언 사흘 만에, 그리고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 시점을 사흘 남겨두고 실시된 것이다. 군사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잇따르고 있는 중국, 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무단진입, 특히 지난달 발생한 러시아 군용기의 사상 첫 독도 영공침범 사건 역시 이례적인 독도방어훈련의 배경이 됐을 거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러시아는 자국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 사건을 설명하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중국 공군과 장거리 연합 초계비행을 한 것이라 밝혀 독도 영공 침범 사건이 재발한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이에 대해 군 안팎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단호한 메시지를 발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해군 관계자는 이런 '동해 영토수호훈련'에는 "모든 역량을 다 투입해 우리 영토를 수호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