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자녀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도 검찰개혁 화두를 꺼내 검증 공세를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조 후보자는 25일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이 꾸려진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에 출근해 "개혁주의자가 되기 위해 노력했지만 아이 문제에는 불철저하고 안이한 아버지였음을 겸허히 고백한다"며 "국민 여러분께 참으로 송구하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그간 배우자·자녀의 사모펀드 투자, 가족이 운영하는 학교법인 웅동학원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해왔다. 딸(28)의 고교 시절 의학논물 제1저자 등재 등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수세적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이날 조 후보자는 지금까지 발언 중 가장 높은 강도로 자녀 문제에 대해 사과하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고선 바로 검찰개혁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자녀 입시 관련 의혹에 물러서지 않고 검찰개혁으로 화두를 옮기고 정책 의지를 분명히 밝혀 정치권을 넘어 국민의 판단을 구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조 후보자는 "권력기관 개혁이라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를 이행하라는 국민의 뜻과 대통령의 국정철학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심기일전해 문재인 정부의 개혁임무 완수를 위해 어떤 노력이든 다 하겠다. 저와 제 가족이 고통스럽다고 해 제가 짊어진 짐을 함부로 내려놓을 수 없다"고 했다.

조 후보자는 오는 26일 검찰개혁 방안 등을 담은 두 번째 정책 발표를 하고 정의당이 요청한 소명 자료도 제출할 예정이다. 그가 제시하는 검찰개혁 구상이 여론으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을지는 인사청문회 국면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가 KBS '일요진단 라이브' 의뢰로 지난 22∼23일 전국 유권자 1천15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48%는 조 후보자의 법무부 장관직 수행이 '부적합하다'고 답했다.

다만 '아직 적합·부적합 판단이 어렵다'는 응답이 34%에 달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추후 인사청문회 과정 등을 통해 적합·부적합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의견이 상당한 만큼 조 후보자와 여당은 '검찰개혁의 적임자'라는 점을 호소할 전망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