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주년 광복절인 15일 마이크 혼다 전 미국 연방 하원의원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인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을 찾았다.
혼다 전 의원은 2007년 미국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통과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인물로 '위안부 지킴이'로 불린다.
ADVERTISEMENT
나눔의 집에 따르면 혼다 전 의원은 부산 출신 이옥선(92) 할머니와 대구 출신 이옥선(89) 할머니 등 나눔의 집에 거주하는 2명의 이옥선 할머니를 만나 위로했다.
그는 "2007년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과 관련해 미국 하원 청문회에서 증언한 김군자(2017년 타계) 할머니 등 많은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안타깝다.
전 세계에 평화의 소녀상이 많이 세워져 일본을 압박, 사죄를 받았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나눔의 집 관계자는 전했다.
ADVERTISEMENT
2017년 9월 2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녀상을 건립한 '김진덕·정경식재단'의 김순란 이사장과 김한일 대표, 미국 인권단체 위안부정의연대(CWJC)의 릴리안 싱·줄리 탕 공동의장, 샌프란시스코 소녀상을 제작한 미국 조각가 스티븐 와이트씨 등도 함께 나눔의 집을 방문했다.
김 이사장과 김 대표는 미국 서부지역에 제2, 제3의 소녀상을 추가로 설립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들은 나눔의 집 할머니들에게 고려인삼 등을 선물하기도 했다.
ADVERTISEMENT
1992년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나눔의 집에는 현재 6명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생활하고 있으며 평균 연령은 94세다.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은 16세기에 쓰였지만 지금까지도 예술 안에서 수많은 옷을 갈아입으며 마르지 않는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래서 어떤 장르의 작품이든 누구나 기억에 남는 로미오와 줄리엣 하나쯤은 있을 법하다. 1978년, 영화를 통해 스타덤에 오른 올리비아 핫세(Olivia Hussey, 1951~2024)는 영원한 줄리엣으로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있다. 개인적으로는 프로코피예프(Sergei Prokofiev, 1891~1953)의 발레 음악에 맞춰 춤을 춘 알렉산드라 페리(Alessandra Ferri, 1963~)가 잊히지 않는 줄리엣이다. 로미오로는 바즈 루어만이 감독한 1996년 영화 속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Leonardo DiCaprio, 1974~)가 주목받았다. 이 영화 속에서 가장 압권인 장면은 로미오가 캐플릿가의 무도회에 몰래 숨어 들어갔다가 줄리엣과 마주쳐 첫눈에 반하는 장면이 아닐까 싶다. 바즈 루어만 감독은 로미오와 줄리엣이 수족관을 사이에 두고 투명한 유리 너머로 서로의 눈빛을 교환하는 신비로운 연출을 끌어냈다.발레 <로미오와 줄리엣>에서도 그렇다. 캐플릿가의 무도회장에서 마주친 로미오와 줄리엣은 두 사람의 시간만 정지한 듯, 웅장한 음악과 군무 사이로 서로를 한참 동안 응시하며 서 있다. 이 장면을 본 사람은 누구나 말 한마디 없이도 오로지 눈빛만으로 그 둘이 서로 반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탱고에서도 눈빛이 말보다 강한 순간이 있다. 마치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이 눈빛의 교환이 없으면 춤 자체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탱고를 추기 위해 모이는 곳을 밀롱가(milonga)라고 하는데 이 밀롱가에서는 말 대신 눈빛으로 춤을 신청하고 받아들이는 문화가 있다. 그것을
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는 국내에서 열리는 주요 전시와 공연을 취재해 독자 여러분께 전하고 있습니다. 개막 예정이거나 현재 진행 중인 전시·공연에 대해서는 프리뷰와 리뷰를 제공합니다. 이번 주에 열리는 전시·공연 가운데 볼만한 작품들을 아르떼가 엄선해 소개합니다.아르떼 PICK 공연<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 KBS교향악단>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에서 KBS교향악단이 오는 6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공연한다. 일란 볼코프가 지휘하고 바이올리니스트 사야카 쇼지가 협연한다.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터키풍으로'와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제2번을 선보인다.▶[관련 뉴스]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더 뉴 비기닝' 다음 달 1일 개최▶공연 정보(더보기)<김선욱 &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 김선욱과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의 공연이 오는 7~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이틀에 걸쳐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1번부터 5번 '황제'까지 선보인다.▶[관련 뉴스] 아바도와 21년 함께한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 김선욱과 베토벤 여행 떠난다▶공연 정보(더보기)뮤지컬 <돈 주앙>프렌치 오리지널 내한공연 '돈 주앙'이 4월 4~13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공연한다. 귀족 청년 돈 주앙에게 진정한 사랑이란 저주가 내려지는 이야기로, 스페인 오리지널 플라멩코 댄스팀과 함께 화려한 무대를 선보인다.▶[관련 뉴스] "세비야로 떠나는 여행"...19년 만에 한국 찾은 뮤지컬 '돈 주앙'▶[관련 인터뷰] "다양한 사랑의 감정·플라멩코…'돈 주앙', 심장 갈아넣은 작품"▶공연 정
한국에서 난동을 부리는 외국인 유튜버에 대해 강경대응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한국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일 "최근 한 외국인 유튜버가 생방송을 진행하며 한국 내 거리에서 행인을 폭행하는 영상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와 물의를 빚었다"고 전했다.영상 속 유튜버는 갑자기 차에 탑승하려는 행인을 향해 다가가 다짜고짜 얼굴에 주먹을 날리며 욕설을 퍼부었다.이 장면은 호주 인터넷 방송 플랫폼 '킥(Kick)'을 통해 고스란히 생중계됐으며, 이 유튜버는 뉴욕 출신 래퍼이자 스케이트보더로도 활동 중인 '블랙 데이브'로 밝혀졌다.또한 비슷한 시기에 입국한 유튜버 '아이스 포세이돈'은 서울과 부산, 제주도 등을 제멋대로 활보하며 온갖 잡음을 일으켰다.심지어 "김치는 역겹다"라고 한국을 조롱하거나, "일본이 위안부를 통해 한국인에게 좋은 유전자를 주었다"라는 등 차마 입에 담지 못할 비하 발언도 내뱉었다.이에 대해 서 교수는 "이런 상황은 한국에서 '평화의 소녀상'에 입맞춤하는 등 온갖 기행을 서슴지 않았던 '조니 소말리'의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특히 그는 "현재 재판 중인 조니 소말리에게 강력한 처벌을 내려 좋은 선례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이런 민폐 유튜버들은 강제 추방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아울러 "이젠 더 이상 나라를 조롱하고 행인을 위협하는 외국인 유튜버들이 국내에서 설치지 못하도록 해야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