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배수로·고려시대 토성·조선시대 외성 등 유구 나와
시-문화재청, 문화재 보존방안·대첩광장 사업 박차
임진왜란 3대 대첩인 진주대첩 광장 문화재 발굴조사가 마무리됐다.

경남 진주시는 2016년 8월부터 진주대첩 광장 지표 조사를 시작해 시굴·문화재 정밀발굴조사를 7월 말 끝냈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문화재청과 협의해 진주대첩 광장의 문화재 보존방안 및 대첩광장 조성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발굴유적을 일단 흙으로 덮고 배수시설을 정비하기로 했다.

노출된 유적, 유구 등 훼손 방지를 위해서다.

3년간에 걸친 문화재 조사에서는 통일신라시대 배수로부터 고려시대 토성, 조선시대 외성까지 각기 다른 형태의 유구가 나왔다.

특히 진주 외성이라는 한 공간에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 조선시대까지 1천300여년의 역사가 공존하는 현장이라는 점은 큰 의미가 있다.

시는 이달부터 문화재 조사기관과 전문가 조언을 받아 보존방안 수립에 들어간다.

최종 보존방안은 문화재청 현장 확인, 전문가 검토, 매장 문화재분과 위원회 심의 등 절차를 거쳐 문화재 보존·복원 방안이 정해진다.

시민 의견도 수렴해 진주대첩 광장 조성방안에 반영한다.

진주대첩 광장은 사적 제118호 진주성(晋州城)과 함께 진주 역사와 전통을 대표하는 지역의 문화유산이자 관광자원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