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커진 증시, 어디에 투자해야 내 자산 안전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안전자산으로 자금 이동
채권형 ETF도 강세
지금이 ELS 투자 적기
채권형 ETF도 강세
지금이 ELS 투자 적기

하루에도 50포인트를 오르내리는 변동성 때문에 투자심리는 극도로 위축됐다. 증시가 조금씩 반등을 모색하고 있지만 대외 악재가 단기에 쉽게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당분간 안전자산 위주의 투자가 좋을 것이란 조언이 나온다.
ADVERTISEMENT

해외 주식형펀드도 사정은 비슷했다. 북미 펀드(1.15%)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손실을 냈다. 일본 펀드는 4.37%의 손실을 냈으며 인도 펀드와 중국 펀드도 각각 -3.93%와 -2.78%를 나타냈다. 백찬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을 7위안 이상으로 끌어올리자 미국이 25년 만에 중국을 다시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다”며 “당분간 이 같은 강(强) 대 강 대치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시장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순자산이 304억원으로 가장 많은 ‘키움KOSEF미국달러선물’ ETF의 3개월 수익률은 4.09%다. 경쟁 상품인 ‘삼성KODEX미국달러선물’ ETF(190억원)도 같은 기간 4.10% 수익을 올렸다. 이들 ETF는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210원을 돌파하는 등 급등하자 지난 열흘간 수익률만 3%에 육박했다.
채권형 ETF도 강세다. 채권형 ETF 시장에서는 그동안 머니마켓펀드(MMF) 대용 성격의 단기채권형 ETF가 주로 거래됐지만 올 들어 펀드매니저의 적극적인 운용을 통해 지수보다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는 액티브 채권형 ETF가 인기를 끌고 있다.
ADVERTISEMENT
증시 급락에 매력 커진 ELS 투자

ADVERTISEMENT
지난달 3500선을 넘어선 유로스톡스50지수도 3300대로 주저앉았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수의 절대적인 수준이 낮아져 수익을 챙길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 데다 변동성 확대로 ELS의 목표 수익률이 높아진 점도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ELS에 투자하는 펀드인 ‘ELS 펀드’의 기대 수익률도 올라가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의 ‘삼성ELS인덱스’ 펀드는 지금부터 1년 뒤에 홍콩H지수와 유로스톡스50지수가 현 수준을 유지하면 연 7.70%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금보다 10%씩 하락해도 연 5.70% 수익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홍콩H지수가 20% 이상 하락하면 손실을 볼 수 있지만 홍콩H지수가 2016년 3월 이후 8000 아래로 떨어진 적은 없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