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대립 겪었던 쌍용차 노사, 10년 연속 무파업 임단협 타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쌍용자동차 노사가 10년 연속 무파업으로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을 마무리했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다른 완성차업체 노조가 다음달 나란히 파업을 강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과 전혀 다른 모습이다.
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노사는 이날 ‘2019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쌍용차 노조는 1~2일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노조원 절반 이상이 잠정합의안에 찬성하면 2019년 임단협은 최종적으로 마무리된다. 잠정합의안에는 기본급 4만2000원 인상과 일시금 350만원 지급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는 이밖에 △고용안정 3자 특별협약 체결 △노사간 상시협의를 위한 협의체 구성 △노후시설 개선 등에도 합의했다.
쌍용차 노사는 2010년부터 무분규 임단협 타결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한국GM 등 나머지 완성차 4사는 모두 노사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자동차업계에서는 2009년 발생한 ‘쌍용차 사태’가 약이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극한 갈등이 회사와 노조원 모두에게 독이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설명이다.
쌍용차 사태는 2009년 당시 대주주이던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차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을 결정하면서 시작됐다. 1900여명이 희망퇴직했고, 450여명이 무급휴직에 들어갔다. 노조는 강하게 반발했다. 77일간의 ‘옥쇄파업’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노조가 격렬하게 반발하면서 공권력이 투입됐고, 이 과정에서 유혈사태도 빚어졌다.
갈등은 간신히 봉합됐고, 쌍용차 노조는 상급단체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탈퇴했다. 이후 분위기는 180도 바뀌었다. 노조는 인력 전환 배치 등 회사의 경영상 결정을 적극 수용했다. 경영진도 화답했다. 2015년엔 희망퇴직자와 정리해고자, 신입사원을 3:3:4의 비율로 채용한다는 합의가 이뤄졌다. 지난 6월에는 모든 해고자가 복직됐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쌍용차 노사 모두 최악의 상황을 경험하면서 ‘회사가 있어야 노조도 있다’는 교훈을 얻은 것 같다”며 “쌍용차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꾸준한 실적을 낼 수 있는 힘은 모범적인 노사문화에 있다”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노사는 이날 ‘2019년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쌍용차 노조는 1~2일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노조원 절반 이상이 잠정합의안에 찬성하면 2019년 임단협은 최종적으로 마무리된다. 잠정합의안에는 기본급 4만2000원 인상과 일시금 350만원 지급 등의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는 이밖에 △고용안정 3자 특별협약 체결 △노사간 상시협의를 위한 협의체 구성 △노후시설 개선 등에도 합의했다.
쌍용차 노사는 2010년부터 무분규 임단협 타결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한국GM 등 나머지 완성차 4사는 모두 노사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자동차업계에서는 2009년 발생한 ‘쌍용차 사태’가 약이 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극한 갈등이 회사와 노조원 모두에게 독이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설명이다.
쌍용차 사태는 2009년 당시 대주주이던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차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을 결정하면서 시작됐다. 1900여명이 희망퇴직했고, 450여명이 무급휴직에 들어갔다. 노조는 강하게 반발했다. 77일간의 ‘옥쇄파업’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노조가 격렬하게 반발하면서 공권력이 투입됐고, 이 과정에서 유혈사태도 빚어졌다.
갈등은 간신히 봉합됐고, 쌍용차 노조는 상급단체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탈퇴했다. 이후 분위기는 180도 바뀌었다. 노조는 인력 전환 배치 등 회사의 경영상 결정을 적극 수용했다. 경영진도 화답했다. 2015년엔 희망퇴직자와 정리해고자, 신입사원을 3:3:4의 비율로 채용한다는 합의가 이뤄졌다. 지난 6월에는 모든 해고자가 복직됐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쌍용차 노사 모두 최악의 상황을 경험하면서 ‘회사가 있어야 노조도 있다’는 교훈을 얻은 것 같다”며 “쌍용차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꾸준한 실적을 낼 수 있는 힘은 모범적인 노사문화에 있다”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