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은사지·주상절리…경주 문화재 관리 소홀, 곳곳 통제선 훼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상절리군 주변 불법 채취도 이뤄져…시내 문화재 안내시스템 '먹통'
경북 경주의 문화재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9일 찾아간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바닷가에는 천연기념물 주상절리군이 자리 잡고 있었다.
주상절리는 화산활동으로 분출한 용암이 급속도로 식으면서 수축해 만들어진 육각이나 오각기둥 모양의 돌덩어리다.
2012년 9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경주시는 문화재구역에 출입을 제한하고 문화재를 훼손하거나 동·식·광물을 포획·채취·반출하지 말라는 안내문과 현수막을 곳곳에 세워놓거나 붙여놓았다.
그러나 이날 오전 한 남성이 주상절리군 주변 바다에 걸어 들어가 무엇인가를 채취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주상절리군을 따라 해변에 만든 파도소리길에는 문화재보호구역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출입을 제한한다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었다.
하지만 문화재보호구역에 이미 많은 사람이 드나들어 길이 형성돼 있었고 사람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설치한 줄은 끊긴 지 오래됐다.
경주시는 최근에서야 비닐 끈으로 엉성하게 막아놓았을 뿐이다.
주상절리군에서 직선거리로 7㎞ 떨어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있는 사적 31호 감은사 터도 관리가 허술했다.
감은사지는 통일신라 때 만든 가장 큰 석탑이자 국보인 감은사지 삼층석탑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소개한 삼층석탑과 감은사 터를 보려는 관람객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는 곳이다.
절 중심에 있는 금당터에는 큰 장대석을 비롯해 여러 석재가 놓여 있다.
예전에는 특별한 보호 조치 없이 개방돼 있어 금당 터 석재 위에 올라가거나 만져보는 관람객이 많았다.
관리당국이 최근에는 석재를 보호하기 위해 출입통제선을 쳐 놓고 들어가지 말라는 안내판을 세워놓았다.
그런데도 관리 눈길이 닿지 않는 야간에 일부 관람객이 줄 위에 앉거나 몰래 들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이 때문에 현재 출입 통제를 위해 설치한 줄을 연결하는 기둥 일부가 부서진 상태다.
문화재 관리뿐만 아니라 안내 시스템도 일부 문제를 드러냈다.
경주 도심인 중부동 봉황대 인근에 설치된 노동·노서 고분군 안내 시스템은 먹통이 된 지 오래였다.
화면을 누르면 사용할 수 있다고 돼 있지만 화면은 꺼진 상태였다.
안내시스템을 눌러보던 한 관광객은 "작동하지도 않는 기기를 왜 그냥 두는지 모르겠다"며 "고치든가 철거하든가 무슨 수를 써야 할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지난 29일 찾아간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바닷가에는 천연기념물 주상절리군이 자리 잡고 있었다.
주상절리는 화산활동으로 분출한 용암이 급속도로 식으면서 수축해 만들어진 육각이나 오각기둥 모양의 돌덩어리다.
2012년 9월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경주시는 문화재구역에 출입을 제한하고 문화재를 훼손하거나 동·식·광물을 포획·채취·반출하지 말라는 안내문과 현수막을 곳곳에 세워놓거나 붙여놓았다.
그러나 이날 오전 한 남성이 주상절리군 주변 바다에 걸어 들어가 무엇인가를 채취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주상절리군을 따라 해변에 만든 파도소리길에는 문화재보호구역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출입을 제한한다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었다.
하지만 문화재보호구역에 이미 많은 사람이 드나들어 길이 형성돼 있었고 사람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설치한 줄은 끊긴 지 오래됐다.
경주시는 최근에서야 비닐 끈으로 엉성하게 막아놓았을 뿐이다.
주상절리군에서 직선거리로 7㎞ 떨어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있는 사적 31호 감은사 터도 관리가 허술했다.
감은사지는 통일신라 때 만든 가장 큰 석탑이자 국보인 감은사지 삼층석탑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소개한 삼층석탑과 감은사 터를 보려는 관람객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는 곳이다.
절 중심에 있는 금당터에는 큰 장대석을 비롯해 여러 석재가 놓여 있다.
예전에는 특별한 보호 조치 없이 개방돼 있어 금당 터 석재 위에 올라가거나 만져보는 관람객이 많았다.
관리당국이 최근에는 석재를 보호하기 위해 출입통제선을 쳐 놓고 들어가지 말라는 안내판을 세워놓았다.
그런데도 관리 눈길이 닿지 않는 야간에 일부 관람객이 줄 위에 앉거나 몰래 들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이 때문에 현재 출입 통제를 위해 설치한 줄을 연결하는 기둥 일부가 부서진 상태다.
문화재 관리뿐만 아니라 안내 시스템도 일부 문제를 드러냈다.
경주 도심인 중부동 봉황대 인근에 설치된 노동·노서 고분군 안내 시스템은 먹통이 된 지 오래였다.
화면을 누르면 사용할 수 있다고 돼 있지만 화면은 꺼진 상태였다.
안내시스템을 눌러보던 한 관광객은 "작동하지도 않는 기기를 왜 그냥 두는지 모르겠다"며 "고치든가 철거하든가 무슨 수를 써야 할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