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3조원대 손실…'737맥스 운항중단' 비용부담 급증
'737맥스 충격' 보잉, 역대최대 분기손실…생산중단 우려도 고개(종합)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이 주력 기종인 '737 맥스'의 운항 금지로 역대 최악의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보잉은 올해 2분기 주당 5.82달러, 총 29억 달러(약 3조4천억 원)의 손실을 냈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1916년 보잉 창사 이래 최악의 손실이라고 CNBC 방송은 전했다.

보잉은 지난 2009년 금융위기 당시 16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데니스 뮐렌버그 보잉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보잉에 결정적 순간"이라며 737 맥스의 안전한 운항 재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737맥스 충격' 보잉, 역대최대 분기손실…생산중단 우려도 고개(종합)
737 맥스 기종은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라이온에어 여객기 추락과 올해 3월 에티오피아 항공기 추락으로 모두 346명이 숨지면서 지난 3월 중순부터 미국을 비롯한 세계 40여 개국에서 운항이 금지된 상태다.

이로 인해 보잉의 항공기 인도 물량은 작년 동기보다 104대 감소했다.

매출은 작년 2분기 248억 달러에서 올해 2분기 158억 달러로 35% 급감했다.

737 맥스의 운항 금지로 인한 비용 부담은 약 50억 달러에 달한다.

737 맥스 기종을 도입한 여러 항공사가 해당 기종을 운항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영업손실에 대한 보전 액수다.

보잉은 올해 4분기 초 737 맥스 기종의 운항 재개를 기대하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규제기관인 연방항공청(FAA)의 승인 일정 등을 고려하면 운항 재개가 내년 초로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관련, 보잉은 연말까지 운항 재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생산량을 줄이거나 잠정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뮐렌버그 CEO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우리의 예상이 달라진다면, 737맥스의 생산량을 추가로 줄이거나 일시적인 생산중단을 비롯한 다른 옵션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737맥스의 재고를 고려하면, 잠정적인 생산중단이 감산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보잉은 737맥스를 매달 42대 생산하고 있다.

737맥스 운항 중단 사태가 불거지자 기존 생산량보다 20% 감축한 수치다.

다만 연말까지 운항이 재개된다는 전제 하에 내년에는 생산량을 57대로 늘린다는 입장이다.

737맥스의 생산중단 가능성이 거론되자, 뉴욕증시에서 보잉 주가는 낙폭을 키우면서 3.15%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연합뉴스